"금리인상 사이클 시작".. 증권사에서 본 경기 전망은?

조승예 기자 2021. 10. 4. 05: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시작되면서 내년까지 2~3회 추가 금리인상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증권가에서는 지난해부터 금리인상 사이클이 시작되면서 가계 순이자소득이 정상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근로, 사업 소득 증가에 힘입어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은 올해부터 내년까지 개선될 전망"이라며 "올해와 내년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각각 2.2%와 3.6%로 추산된다"고 덧붙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시작되면서 내년까지 2~3회 추가 금리인상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사진=이미지투데이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시작되면서 내년까지 2~3회 추가 금리인상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증권가에서는 지난해부터 금리인상 사이클이 시작되면서 가계 순이자소득이 정상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고려한 2016~2020년 잠재 성장률 추정치는 2.5~2.7%로 집계됐다. 기존 추정치인 2.7~2.8% 보다 낮은 점이 특징이다. 잠재 성장률은 경제가 평균적으로 성장하는 속도를 의미한다. 

김예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잠재 성장 연구와 경제 전망에 담겨있는 한국은행의 시각을 잠재 성장과 실제 성장의 차이인 GDP 갭으로 나타내면 경기동행지수와 유사한 궤적을 보인다"면서 "올해 4분기 중 플러스 전환해 내년에는 그 폭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GDP가 상당기간 적정 수준에서 벗어나면서 물가 상승 압력도 꾸준히 높아질 것"이라며 "내년까지 추가 2~3회 금리인상이 전쳐진다"고 내다봤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부채에서 발생하는 이자비용과 동시에 이자부 자산에서 이자수익도 늘어난다. 가계 소비 여력에 마이너스와 플러스 효과가 모두 발생하는 셈이다. 우리나라 가계는 이자수익보다 이자지출이 많다는 점에서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소비 여력'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올해 4분기 중 25bp(1bp=0.01%) 추가 인상 후 내년 50bp 인상하는 경우 가계 이자 부담은 올해 59조4000억원, 내년에는 66조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올해와 내년 가계대출 잔액을 금융위의 목표보다 소폭 높은 9%와 5% 증가로 가정하고 대출금리는 기준금리 인상폭과 동일하게 상승, 금리인상에 받는 변동금리 비중은 올해 평균인 70%로 가정했을 경우다. 

김 연구원은 "절대적인 이자비용의 증가가 가계 소비 여력에 미치는 영향은 소득변화에 달려있다"면서 "단적으로 이자비용이 100% 늘어나는 상황에서 소득이 50% 증가하는 경우와 100% 증가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근로, 사업 소득 증가에 힘입어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은 올해부터 내년까지 개선될 전망"이라며 "올해와 내년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각각 2.2%와 3.6%로 추산된다"고 덧붙였다. 
2022년 이자부담/처분가능소득 그래프./사진=한국투자증권

내년 이자비용/처분가능소득은 6% 정도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5.2%를 웃도는 것으로 2017~2018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 2018년과 비교해보면 내년 가계 이자비용은 약 10% 높아지지만 가계이자/처분가능소득은 6.2%에서 6%로 소폭 줄어든다.

김 연구원은 "부채 증가와 금리인상 사이클이 맞물려 절대적인 이자 규모는 커지겠지만 소득 회복이 뒷받침 되면서 실질적인 이자 부담은 소비에 부담을 줄 정도는 아닐 것"이라며 "금리인상 사이클에도 내수 중심의 회복에 무리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7년부터 가계의 순이자소득은 마이너스를 기록하기 시작했다. 저축의 주체로 알려진 가계의 이자 수입보다 이자지출이 더 많아졌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가계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 규모는 비슷한 속도로 증가했다"면서 "이자지출이 이자수익 대비 빠르게 늘어난 것은 저금리 속에서 가계가 이자부(예금, 채권) 자산을 줄이고 연금, 주식의 비중을 확대하는 리밸런싱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에는 4년 만에 가계 순이자소득이 다시 플러스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김 연구원은 "역사적 최저 기준 금리 하에 예금금리 하방은 막히면서 대출금리가 예금금리 대비 큰 폭 하락했다"면서 "그 결과 가계의 이자소득 대비 지출이 가파르게 줄어든 것"이라고 분석했다. 

[머니S 주요뉴스]
디올 CEO의 충격적인 말… 블랙핑크 지수 무슨일?
한예슬, '아슬아슬' 패션… 눈길 사로잡는 각선미
정우성과 '럽스타그램'?… 이정재 팔로워 어떻길래
재조명된 故최진실·조성민 유족의 '22억 건물 분쟁'
나연-모모-다현 '인형들이 찍은 셀카는?'
"우리아미상받았네" BTS 지민, 팬 사랑에 '뭉클'
'007 노타임 투 다이' 4일 만에 40만명 봤다
신지, 레트로 청바지 패션… "촌스럽지 않는 스타일링"
싸이, '오징어게임' 달고나 패러디… "다음 컴백 누구?"
이정재, SNS 개설 후 프사는 '오징어 게임' 캐릭터

조승예 기자 csysy24@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