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공급망 붕괴.. 올 겨울 '쇼크'오나

임광복 2021. 10. 3. 19: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수요 못 따라가는 공급
석유·천연가스·석탄값 급등
연말까지 랠리 '비관론' 우세
전기료 올린 한국, 물가 들썩
공공요금 줄인상 빨간불 켜져
에너지 가격 고공행진이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재촉하는 뇌관으로 급부상했다.

에너지수급 불안이 '세계의 공장' 중국의 전력난과 맞물리면서 전 세계 공급망마저 흔들리고 있다. 이는 반도체 부품부터 소매상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고삐 풀린 에너지 가격이 연말까지 랠리를 이어갈 것이란 비관론마저 나온다. 백신접종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로 국제유가는 당초 예상보다 6개월가량 이른 내년 초 100달러를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천연가스 가격도 올해 200% 이상 오르는 등 원자재 가격 랠리에 따른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이처럼 미국·유럽 에너지 가격 급등과 글로벌 공급망 붕괴로 우리나라도 국내 수입물가가 상승하면서 전반적인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유가·천연가스 가격 급등에 4·4분기 전기요금이 오른 데 이어 도시가스요금 등 공공요금도 빨간불이 켜졌다.

3일 정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에너지 및 원자재 가격 상승과 중국 전력난이 복합적으로 맞물리면서 국내외 경제와 금융시장을 강타하고 있다.

백신접종과 경제회복세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했지만 공급부족 우려로 유가상승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가 4일 정기회의에서 증산을 결정하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따라 국제유가는 예상보다 이른 내년 초 100달러를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천연가스 가격도 러시아와 유럽의 불협화음으로 올해 200% 이상 급등했다. 유럽 가스 허브인 영국의 NBP(National Balancing Point)·네덜란드의 TTF(Title Transfer Facility)는 연초 대비 최근 각각 252%, 212.6% 올랐다.

중국의 전력난은 이 같은 에너지수급 불안에 쐐기를 박은 형국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중국의 전력난으로 석탄 가격이 급등하는 등 중국의 전력난이 전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치면서 코로나 팬데믹 이후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는 세계경제에 또 다른 재앙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의 전력난이 가시화되면서 석탄은 물론 천연가스 등 발전 관련 모든 원자재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석탄 가격의 글로벌 벤치마크인 뉴캐슬 화력 석탄 가격은 지난주 연초보다 141% 급등한 t당 201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다. 철강 제조에 사용되는 고급 야금용 석탄 가격은 연초보다 158% 상승한 615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문제는 난방 수요가 급증하는 동절기가 다가오고 있어 에너지 관련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더욱 심화될 것이란 점이다. 중국 전력난과 델타변이 확산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되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는 악순환도 우려된다.

이 같은 글로벌 리스크는 우리나라에 스태그플레이션(물가상승 속 경기침체)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다. 당장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에도 최대 리스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원자재 공급부족 사태와 공급망 혼선에 따라 수출에 차질을 빚을 경우 우리나라는 연간 4%대 성장률도 위협받을 수 있다. 게다가 수입물가 급증에 따른 소비자물가 상승에다 국내 공공요금 인상도 가시권에 들어왔다. 산업의 근간인 전기요금이 오르면서 도시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특히 도시가스요금은 지난해 7월 평균 13.1% 인하된 후 올해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했지만 반영되지 않고 있다. 경제총괄 부처인 기획재정부는 4·4분기 전기요금 인상 결정 후 도미노 인상 우려로 "연내 공공요금 인상은 없다"고 못을 박았다. 하지만 에너지정책 총괄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11월 도시가스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어서 줄다리기가 이어질 전망이다.

정부 당국자는 "글로벌 공급병목 해소 지연과 미국 테이퍼링 경계감 등 대외리스크가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우리 경제 리스크 요인을 점검해 경제회복 과정이 불안정해지지 않게 점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