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지난 8년간 현금성 복지, 부자들이 더 빠르게 늘었다
[경향신문]
국가나 지자체로부터 받는 현금 복지 혜택이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에서 훨씬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고령층이 집중된 소득 하위 가구가 국민연금 사각지대에 머물고 있는 사이 고소득 가구가 연금 수령을 받는 규모는 계속 증가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임금 및 일자리 격차가 은퇴 이후 연금 격차로 이어지면서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3일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실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소득 1분위(하위 20%)의 2019년 공적이전소득은 2011년보다 96% 늘어난 반면, 4분위는 2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이전소득은 국민연금·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과 기초노령연금, 실업급여·아동수당 등 각종 현금성 사회 수혜금을 말한다. 공적이전소득 증가율을 최근 9년간 전분기(2011~2015년)와 후반기(2016~2019)로 나눠봤을 1분위의 증가율은 최근들어 더 둔화하고 있다. 전반기 46% 증가했으나 후반기는 34% 올랐다. 반면 4분위는 전반기(60%)보다 약 2배 많은 116%에 달했다.
이처럼 1분위와 4분위 간 공적이전소득 증가율 격차를 벌리는 핵심 요인은 국민연금·공무원연금 등의 공적연금이다. 국민연금과 사회보험급여 등이 시장 소득의 크기에 비례해서 지급되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소득 상위 가구의 연금 수급자가 늘면서 공적이전소득 증가율을 끌어 올리는 것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공적연금은 전체 공적이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기 때문에 연금을 많이 받지 못하는 1분위 고령자 가구는 증가율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며 “2~4분위는 국민연금 외에도 양육수당을 받을 수 있는 자녀가 있는 가구가 많아 공적이전소득 증가율이 높다”고 말했다.
문제는 취약계층인 1분위는 공적이전소득에 생계의 큰 부분을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1분위의 근로·사업·재산소득을 합친 시장소득은 2019년 연간 308만원에 그친 반면, 공적이전소득 규모는 833만원으로 두 배 이상 많다. 정부나 지자체의 현금성 복지 없이는 생활이 어렵다는 뜻이다. 4분위의 경우 연간 시장소득이 6727만원, 공적이전소득은 279만원을 나타냈다.
1분위 가구는 연금혜택을 거의 받지 못하고 있다. 1분위 가구의 2019년 기준 평균 연령은 69세로 고령자가 압도적으로 많다. 그러나 지난해 6월 기준 65세 이상 고령인구 중 국민연금 수급자 비중은 35%, 월평균 수급액도 53만원에 불과하다. 문재인 정부가 소득하위 70% 고령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기초연금을 올해 30만원으로 인상했지만, 안정적 노후를 보장하기에는 아직 부족하다. 최현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재정정책연구실장은 “전체 노인의 절반에 해당하는 빈곤선 고령 가구에 기초연금 수급액을 집중적으로 늘려주는 방식 등으로 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하면서, 국민연금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용혜인 의원은 “안정된 고소득자와 저임금 불안정 노동의 고착화는 은퇴 이후 연금수령액의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며 “현금 급여의 대대적 확충을 위해선 증세가 필요하고 기본소득제 도입도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윤지원 기자 yjw@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호처 “관저 공조본 대치에 군부대 투입 안 했다”
- [속보]공수처, 윤석열 대통령 체포 실패…“집행 불가능, 심히 유감”
- 김상욱 “윤 대통령, 출석 거짓말하고 비겁하게 숨는 겁쟁이”
- “윤 대통령 지키자” 윤상현·김민전 선동 감싸는 국힘···“다양한 스펙트럼 포용”
- [속보]‘윤석열 체포’ 막아선 경호처장 ‘공무집행방해’ 고발돼
- 민주당, 윤석열 체포영장 발부 항의 국민의힘에 “반민주적 폭거”
- 안보실, ‘무인기 침투 지시’ 주장한 민주당 의원 13명 고발
- ‘윤석열 체포 대치·실패’ NYT·BBC·가디언 등 라이브 보도…전세계 이목 집중
- [속보] 헌재 “윤석열 대통령, 오늘 헌재에 답변서 제출”
- 민주, 관저 집회 참석 윤상현 ‘특수공무집행 방해 교사죄’ 추가 고발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