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 갭투자 비중 4년새 3배↑..대책 직후에만 일시 하락

홍국기 2021. 10. 3. 15: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갭투자'(세를 끼고 매수하는 투자)를 부동산 투기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하고 각종 대책을 쏟아냈지만, 갭투자는 오히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서울 지역의 갭투자 비율은 꾸준히 상승하다가도 일시적으로 뚝 떨어지는 흐름을 보이곤 했는데 급락 시점은 대부분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 대책이 발표된 직후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갭투자 (PG) [김민아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정부가 '갭투자'(세를 끼고 매수하는 투자)를 부동산 투기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하고 각종 대책을 쏟아냈지만, 갭투자는 오히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훈(국민의힘)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서울시 주택 자금조달계획서 현황 자료에 따르면 갭투자 비율은 2017년 9월 14.3%에서 2021년 7월 41.9%로 약 4년 만에 3배 가까이 뛰었다.

올해 5월에는 43.7%까지 치솟기도 했다.

[그래픽] 서울 주택 갭투자 비중 추이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최근 서울 지역의 갭투자 비율은 꾸준히 상승하다가도 일시적으로 뚝 떨어지는 흐름을 보이곤 했는데 급락 시점은 대부분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 대책이 발표된 직후였다.

2017년 '8·2 대책' 발표 직후인 9월 서울의 갭투자 비율은 14.3%에 그쳤고, 2018년 9월 30.9%였던 갭투자 비중은 '9·13 대책' 여파로 10월에 19.9%로 급락했다.

또 2019년 '12·16 대책' 발표 직전인 11월 32.4%였던 서울 갭투자 비율은 발표 이후인 이듬해 1월 25.3%로 꺾였다.

지난해에는 '6·17 대책' 영향으로 6월 31.6%에서 7월 25.8%로 떨어졌고, 올해는 '2·4 공급대책' 여파로 2월 40.3%에서 3월 31.0%로 내려왔다.

김 의원은 "문재인 정부는 임기 시작과 동시에 5년간 갭투자를 잡겠다고 나섰지만, 갭투자 비율은 대책이 나오고 시일이 지나면 다시 반등했다"며 "실수요와 투기를 동일시하면서 규제를 가해 서민층의 내 집 마련까지 어렵게 해 고통을 배가시켰다"고 지적했다.

redflag@yna.co.kr

☞ 성관계 자세히 엿보려고 베란다 넘어 옆집 침입했다가…
☞ 윤석열, '손바닥 王' 洪 저격에 "속옷까지 빨간색이면서"
☞ 틱톡 최고 인기남 '한심좌' 아시나요…팔로워가 무려 1억1천만명
☞ "바람폈지? 누구야?" 감금한 아내 머리에 시너 쏟아붓고…
☞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오징어 게임' 트윗 올리며…
☞ 도로 한복판 민폐 전동휠체어…횡단보도 빨간불에 '슈웅'
☞ 류현진, 토론토 명운 걸고 최종전 선발 출격…지면 탈락
☞ 공무원들 '순금 10돈' 전쟁…"안내고 안받겠다" vs "돈만 내고 억울"
☞ CNN, 한국 '남성혐오 손가락' 논란 조명…"극한 젠더전쟁"
☞ 인터넷방송 촬영차 방문한 동료 추행·감금…남성 BJ 체포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