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텀블러 부자는 이제 그만! 한 개면 충분하잖아요" 쓰레기 전문가의 일침

강윤주 2021. 10. 3.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당연히 많다고 자랑하려는 건 아니다.

"문자를 받고 국회 카페에 가 보니 역시나 일회용 컵에 주더라고요. 적어도 텀블러를 나눠 주려는 의지가 있다면, 개인 컵을 가져올 때만 판매하겠다거나 다회용 컵을 비치해 놨으면 좋았을 텐데 말이죠." 친환경 시스템에 대한 고민 없이 친환경 타이틀만 노리는 건 국회라고 다를 바 없다는 지적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쓰레기센터소장, 이동학 민주당 최고위원
'스타벅스 다회용컵 데이' 등 그린워싱 비판
"모든 카페서 이용 가능한 대한민국컵 제안"
지난달 28일 서울 시내 한 스타벅스 매장에서 직원들이 다회용 컵에 음료를 담아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스타벅스 코리아는 이날 하루 매장을 방문해 음료를 주문하면 글로벌 스타벅스 50주년 기념 특별 디자인이 적용된 그란데 사이즈의 다회용 컵에 음료를 제공하는 '리유저블 컵 데이' 행사를 펼쳤다. 연합뉴스
"저희 집에 텀블러 20개 있다니까요!"

쓰레기 문제를 정치적 의제로 끌어올리는 데 공을 들인 쓰레기센터(https://trashcenter.modoo.at/) 소장 이동학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최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페이스북에 본인 소유의 텀블러 개수를 공개했다.

당연히 많다고 자랑하려는 건 아니다. "이렇게나 많은데!" "이러다가 21개가 될 텐데!" 또 텀블러를 사라고 부추기는 반(反)환경적 행태에 제동을 걸기 위해 쓴 반어법적 표현이다.

더불어민주당 이동학 청년 최고위원이 지난달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연합뉴스

분노의 시작은 스타벅스였다. 지난달 28일 50주년을 맞은 스타벅스는 친환경을 실천하자는 의미로 '리유저블 컵(다회용 컵) 데이' 행사를 진행했다. 일회용 컵을 줄여보겠다는 뜻은 좋았지만, 그 끝은 다회용 컵 쓰레기 양산이었다.


스타벅스 '다회용 컵 데이', 위장 환경주의 논란 점화

일교차가 큰 가을 날씨를 보인 지난달 28일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새별오름 한쪽에 일회용 컵 쓰레기가 악취를 풍기며 버려져 있다. 제주=뉴시스

보여주기식 친환경 굿즈로 기업 이미지만 쌓으려는, 위장 환경주의 '그린워싱(Green washing)'이 아니냐는 질타가 쏟아졌다. 그럼에도 불필요한 플라스틱은 여전히 잘 팔려 나갔다.

이 최고위원은 스타벅스의 이중적 행태를 꼬집으며 개인 컵 사용을 기본 전제로 하되, 최대한 쓰레기를 줄여 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다회용 컵 모델을 설파했다. 바로 "대한민국 공용 컵" 도입이다.

그가 보기에 현재의 다회용 컵 시스템은 자사 브랜드에서 생산한 다회용 컵 이용만 고집하는 것부터가 문제다. 이렇게 되면 스타벅스가 아닌 다른 카페를 이용할 경우 추가로 다회용 컵을 구입할 수밖에 없다. 일회용 컵과 다를 바 없는 다회용 컵의 낭비가 시작되는 악순환이다.


"대한민국 모든 카페서 사용 가능한 공용 컵 효과적"

추석 연휴가 끝난 지난달 23일 대구 수성구 생활자원회수센터에 한꺼번에 밀려든 선물 포장용 비닐과 스티로폼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센터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추석보다 비닐과 플라스틱은 2배, 스티로폼은 5배가량 많이 수거되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뉴시스

그래서 그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대한민국 공용 컵"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스타벅스 다회용 컵', '커피빈 다회용 컵' 나누지 말고 언제 어디서든 이용 가능한 동일한 컵을 만들자는 것. 이때 보증금을 붙이는 건 필수다. 반납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사실 이는 개별 기업에만 떠넘길 일도 아니고, 그래서도 안 된다. 정부와 국회가 나서야 한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멀어 보인다.

최근 국회 사무처가 친환경 국회를 조성하겠다며, 출입기자들에게 1인당 1개씩 텀블러를 나눠 주겠다고 공지한 것을 두고도 이 최고위원은 아쉬움을 드러냈다.

"문자를 받고 국회 카페에 가 보니 역시나 일회용 컵에 주더라고요. 적어도 텀블러를 나눠 주려는 의지가 있다면, 개인 컵을 가져올 때만 판매하겠다거나 다회용 컵을 비치해 놨으면 좋았을 텐데 말이죠." 친환경 시스템에 대한 고민 없이 친환경 타이틀만 노리는 건 국회라고 다를 바 없다는 지적이다.


"국회부터 친환경 다회용 컵 시스템 만들어 나가야"

게티이미지뱅크

그래도 달라지고는 있다. 일회용 컵은 사용하지 않고, 다회용 컵에만 음료를 판매하는 인천시청 사례는 참고할 만하다. 이 최고위원은 "국회에도 적용해 보자고 사무처에 제안해 볼 생각"이라고 했다. 대한민국의 법과 제도를 만드는 국회가 친환경 다회용 컵 사용의 모범을 보여줘야 한다는 점에서다.

쓰레기를 줄여 나가는 방법은 우리 모두 다 안다. 불필요한 건 안 사면 된다. 음료를 마시는 용기의 경우 개인 컵이 최우선이다. 불가피할 때는 다회용 컵, 공용 컵을 사용하는 거다. 이 최고위원은 그 마음가짐을 공론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정부나 기업이 일회용품을 덜 생산하거나 다회용 체계로 바꾸는 데 있어서 소비자와 시민의 여론이 중요한 지렛대가 될 수 있으니까요."

어려울 건 없다. 텀블러 사라고 계속 부추기거나, 쓸데없이 많이 나눠 주는 세상을 향해 "저희 집에 텀블러 20개 있거든요! 21개 되는 거 싫거든요!"라고 마음속으로 외쳐보는 것부터가 시작일지 모른다.

강윤주 기자 kkang@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