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한국이 몽골에 심은 나무..15년 지나자 '놀라운 변화'

YTN 2021. 10. 3. 10: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서쪽으로 130km를 달리면 '룬솜' 지역이 나옵니다.

군데군데 초원이 보이지만, 15년 전만 해도 이곳은 사막화가 급속히 진행되던 황무지였습니다.

매년 봄마다 엄청난 양의 모래가 떠올라 황사로 변해 한반도까지 날아오기도 했습니다.

이곳에 우리나라는 몽골 고유 수종인 비술나무, 성장이 빠른 포플러 등을 심었습니다.

건조하고 차가운 기후에 잘 견디는 데다 주민들에게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수종이기 때문입니다.

15년이 지난 지금 이 나무들은 10m가 넘는 키로 자라나 사막이 확대하는 것을 막는 방어선이 됐습니다.

[최병암 / 산림청장 : 룬솜 지역 몽골 사람들이 우리가 심은, 조림 성공한 숲을 보고 매우 놀라고 있고, 굉장히 아끼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 지역 인구도 늘고 있어서 (지역 발전 효과도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숲이 없어 삭막했던 수도, 울란바토르에는 도시 숲이 조성됐습니다.

40헥타르, 축구장 40개 크기의 땅에 비술나무와 갈매 보리수, 시베리아 낙엽송 등 나무 3만 그루가 심어져 몽골인들의 휴식처로 자리 잡게 됩니다.

이어 내년부터는 시커먼 재만 남아 있는 대형 산불 피해 지역의 복원 작업도 진행됩니다.

산림청은 몽골과의 산림 협력을 통해 황사 저감뿐 아니라 지구 차원의 기후 생태 위기를 극복하는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YTN 김진두입니다.

화면제공 : 산림청

영상편집 : 임종문

자막뉴스 : 육지혜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지금 YTN 네이버 채널을 구독하면 선물을 드려요!

깔끔하게 훑어주는 세상의 이슈 [와이퍼]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