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3000 붕괴 위기' 공매도 없던 작년 4분기엔 25% 반등..올해는?

양희동 2021. 10. 2. 10: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국채 금리 상승과 재정지출 불확실성 확대, 원·달러 환률 상승 등 악재가 겹치며 코스피지수가 이달 들어 3000선 붕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코스닥지수는 8월 하순 이후 한달여만에 1000선이 무너졌다.

지난해의 경우 대주주 요건 3억원 하향 이슈 등 여러 악재로 코스피 지수가 10월 말 2200선까지 밀렸지만, 11월 이후 급등세로 돌아서기도 했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월1일 코스피지수 3019.18..올 3월 이후 최저치
美 주요지수는 이달 첫 거래일 상승세로 출발
작년 4분기엔 10월 말 2200선서 12월말 2900선 급등
올해도 불확실성 선반영..4Q 美 재정 이슈 해소 예상
일각 "작년에 금지됐던 공매도가 변수 될수도"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미국 국채 금리 상승과 재정지출 불확실성 확대, 원·달러 환률 상승 등 악재가 겹치며 코스피지수가 이달 들어 3000선 붕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코스닥지수는 8월 하순 이후 한달여만에 1000선이 무너졌다. 여기에 지난달 추석 연휴 전 세계 증시를 뒤흔들었던 중국 헝다그룹 파산 위기도 여전히 진행형이다. 지난해의 경우 대주주 요건 3억원 하향 이슈 등 여러 악재로 코스피 지수가 10월 말 2200선까지 밀렸지만, 11월 이후 급등세로 돌아서기도 했었다. 이로인해 이달 이후 다시한번 반등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9월부터 올 1월 초까지 코스피지수 추이. (자료=마켓포인트)
2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코스피·코스닥 지수는 지난 1일 종가 기준 각각 3019.18, 983.20으로 마감했다. 코스피지수는 한달 전인 9월 1일 3207.02에서 5.86%(187.84포인트), 코스닥지수는 같은기간 6.00%(1045.98→983.20)가 각각 하락했다. 코스피지수는 지난 3월 24일(2996.35) 이후 6개월여만에 3000선이 무너질 위기에 처했고, 코스닥지수는 8월 23일(993.18) 이후 1개월여만에 1000선을 깨고 내려갔다.

증권업계에선 미국 재정 지출 관련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국면에서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원·달러 환률까지 1180원 후반대까지 상승하는 등 시장 불안감이 커진 영향으로 분석한다. 이로인해 외국인·기관이 모두 매도에 나서며 주가 하락을 이끌었다.

하지만 1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10월 첫 거래일에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43% 상승한 3만 4326.46,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15% 오른 4357.04에 마감했다. 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82% 오른 1만4566.70, 중소형주 위주의 러셀 2000 지수는 1.69% 오른 2241.63에 마감했다. 월가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 변동성 지수(VIX)는 8.60% 하락한 21.15를 나타냈다.

높은 수요는 소비심리에서 확인됐고, 국채금리도 하락해 투자 심리를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제약업체 머크가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알약)가 입원 가능성을 절반으로 낮춘다는 자체 연구 결과를 내놓은 점도 투자 심리를 높였다.

이로인해 이달 첫 거래일을 폭락세로 마친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19 사태 촉발로 3월 코스피지수가 1400선까지 밀린 이후 급등세를 타며 5개월 뒤인 8월엔 2400선까지 치솟았지만, 9월 이후 하락세를 거듭하며 10월 30일엔 2266.93으로 마감하기도 했다. 특히 삼성전자 주가는 10월 30일 5만 6600원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11월부터 다락같이 치솟은 코스피지수는 그달 2600선을 넘어섰고 12월엔 2800선, 올 1월 6일엔 3000선까지 돌파했다. 이기간 삼성전자 주가도 5만원 중반에서 9만원까지 넘어서며 두 배 가까이 급등하기도 했다.

올해도 4분기에는 바이든 정부의 핵심 공약 이행을 위한 인프라패키지를 포함한 각종 재정 이슈 해소가 예상되고 있다. 또 중국 헝다 사태와 미국 테이퍼링 및 재정 공백 등 불확실성은 선 반영됐다는 시각도 있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 사태 완화와 재정정책 모멘텀 강화로 경기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고, 코로나 확산세가 잦아들면 고용 정상화 속에 수요 회복세가 강화될 뿐만 아니라 공급 차질이 완화된다”며 “소비에서 투자성 지출 중심의 재정정책 모멘텀이 강화되면 추가 수요 창출이 기대되고, 소비 중심의 경기 회복이 생산과 투자로 확산되면서 경기 낙관적 시각을 뒷받침하겠다”고 내다봤다.

일각에선 지난해 4분기엔 공매도가 전면 금지돼 있었지만, 올 4분기에는 공매도 부분 재개가 이뤄진 상황이라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선 공매도가 주가와 별다른 연관성이 없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외국인이 전체 공매도의 80%를 차지하고 있어 주가 향배에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의견을 전했다.

양희동 (eastsu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