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알약' 나오나..머크의 먹는 치료제, 입원 확률 절반 낮춰

김자아 기자 2021. 10. 2. 09:3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제약사 머크가 공개한 코로나 치료제 몰누피라비르./AP 연합뉴스

미국 제약사 머크가 개발한 코로나 치료 알약이 코로나 환자 입원 가능성을 절반으로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알약이 보건당국의 승인을 받으면 팬데믹 판도를 뒤집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1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머크와 협력사 리지백 바이오테라퓨틱스는 감염 5일 이내의 코로나 환자 775명을 대상으로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몰누피라비르’의 3상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임상시험 참가자 절반은 몰누피라비르 알약을, 나머지 절반은 플라시보(가짜 약)를 각각 5일간 복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가벼운 또는 중간 정도의 증세를 보이고 있었다.

그 결과 29일 뒤 몰누피라비르를 복용한 환자 중 7.3%만이 병원에 입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자는 한 명도 없었다. 이에 반해 플라시보 복용군의 입원률은 14.1%를 기록했다. 이 알약이 코로나 환자의 입원 가능성을 50% 가량 낮춰준 셈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플라시보를 복용한 임상시험 참가자 중에서는 8명이 사망했다.

이 때문에 이 알약이 코로나 팬데믹 상황을 극복하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로버트 데이비스 머크 최고경영자(CEO)는 “몰누피라비르가 팬데믹과 싸우는 과정에서 중요한 의약품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머크는 가급적 빨리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긴급사용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FDA가 허가하면 몰누피라비르는 세계 최초의 코로나 알약 치료제가 된다.

약값은 각국의 소득 수준을 고려해 다르게 책정할 방침이다. 미국에서는 1명 치료분을 700달러(약 83만원)에 책정했다.

이날 임상시험 잠정분석 결과 발표에 힘입어 머크 주가는 뉴욕증시에서 장중 한때 10% 이상 폭등하기도 했다. 머크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8.37% 상승한 주당 81.40달러에 마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