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정 의원, '청년고용의무제' 평균 20% 미이행, 제제 강화 촉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회 정무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 '청년고용의무제'미이행 기관에 대한 제재 강화를 촉구했다.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21.9)에 따르면, 청년고용의무제 미이행 공공기관 비율이 매년 평균('14년~'20년) 20%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국회 정무위원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 ‘청년고용의무제’미이행 기관에 대한 제재 강화를 촉구했다.
‘공공기관 청년고용의무제’는 「청년고용촉진 특별법」제5조에 따라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에게 미취업 청년(만 15세~34세 이하)을 매년 정원의 3% 이상 의무적으로 고용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21.9)에 따르면, 청년고용의무제 미이행 공공기관 비율이 매년 평균(’14년~’20년) 20%인 것으로 확인됐다. 미이행률이 2014년 27.9%에서 2019년 10.6%로 하락하였으나, 지난해 15.4%로 다시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전체 대상기관 436개 중 66개 기관(공공기관 48개소, 지방공기업 18개소)이 이행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 특히 한국석유공사(’14, ’17)와 한국광물자원공사(’14, ’19), 88관광개발(’17, ’20)의 경우에는 단 두 해만 청년고용의무를 충족했다.
김 의원은 “코로나19 장기화 속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총력을 다하는 상황에서 공공기관의 청년고용의무 미이행이 늘었다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며, “청년들의 고용상황 개선을 위한 최소한의 약속이 잘 지켜질 수 있도록 청년 정책의 총괄.조정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국무조정실(청년정책실)이 잘 살펴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미이행이 반복되는 이유가 제재의 느슨함(미이행 기관의 명단 공개, 고용실적 경영평가 반영) 때문은 아닌지 점검해 보고, 필요하다면 제재를 강화해야 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청년고용의무제의 유효기간이 2021년 12월 31일에서 2023년 12월 31일로 연장 결정이 된 현시점에서, 제도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엄마하고 삼촌이랑 같이 침대에서 잤어" 위장이혼 요구한 아내, 알고보니...
- '조롱 논란' 박수홍♥김다예, 딸 출생신고 철회 "비상사태"
- "파병 온 북한군, 인터넷 자유로운 러시아서 음란물에 중독"
- 이윤진 "'밤일'한다는 루머, 억장 무너져…열애설도 가짜"
- '성관계 중독' 23세女 "남자면 다 잤다" 고백…이유는 [헬스톡]
- 명태균, 김 여사에 "청와대 가면 뒈진다"…용산행 관여?
- 반반 부부의 결말은 남편 공금 횡령? 코인 투자 전 재산 날릴 위기
- '이혼' 함소원, 전남편 진화와 결별 후 근황…헌 옷 팔아
- 김종인 "윤, 아직도 현상 인식 잘못해…그래선 정상적 국정 운영 불가"
- "100마리가 꿈틀"…설사하던 2살 아기 뱃속에서 나온 '이것'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