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 위한 소수의 희생.. 보건의료의 딜레마

유석재 기자 2021. 10. 2. 03: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죽기는 싫으면서 천국엔 가고 싶은

에이미 거트먼·조너선 D. 모레노 지음 | 박종주 옮김 | 후마니타스 | 440쪽 | 2만2000원

오래된 블루스 곡에서 딴 책의 제목은 우리가 장수와 삶의 질을 위해 엄청난 보건의료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뜻이다. 그 대가라는 것은 또한 생명윤리의 쟁점들과도 긴밀히 연결돼 있다. 의학의 진보와 함께 찾아오는, 피할 수 없는 도덕적 선택들 말이다.

9·11 이후 탄저균을 이용한 테러가 일어났을 때, 어린이의 감염을 막기 위해 아동 대상 탄저병 백신 시험이 필요했다. 그러나 저자들이 속했던 미 대통령 직속 생명윤리위원회는 ‘백신의 혜택을 볼 가능성이 낮은 소수의 아동에게 미지의 위험을 안김으로써 미래의 아동 수백만을 보호하는 사회적 이익을 얻는 게 타당한가’라는 딜레마에 빠졌다. 결론은 이랬다. ‘일반인이 일상생활에서 우연히 겪는 위험 정도인 1단계 위험 수준을 기준으로, 어느 단계든 위험이 그 이상이 되지 않게 점진적으로 시험한다.’

다수를 보호하면서도, 다수를 보호하기 위해 감수해야 하는 위험으로부터 소수를 보호하는 것이 생명윤리학이라는 얘기다. 책 뒷부분의 ‘팬데믹 윤리’에서 저자들은 코로나 사태 속에서 저소득 노동자들이 훨씬 더 많은 고위험 노동을 감당해야 하며, 인종차별과 같은 부정의(不正義)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