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이 참고하는 물가지표, 또 30년래 최대폭 상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주로 참고하는 물가지표가 또 급등했다.
미 상무부는 8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월보다 0.3%, 전년 동월보다 3.6% 각각 올랐다고 1일(현지시각) 밝혔다.
변동성이 높은 에너지와 식료품까지 포함해 산출한 PCE 가격지수는 전월보다 0.4%, 전년 동월보다 4.3%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PCE 가격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1991년 1월 이후 최대폭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주로 참고하는 물가지표가 또 급등했다.
미 상무부는 8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월보다 0.3%, 전년 동월보다 3.6% 각각 올랐다고 1일(현지시각) 밝혔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전월 대비 0.2%, 전년 동월 대비 3.5%)를 상회했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두 달 연속 3.6%로 지난 1991년 5월 이후 30여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근원 PCE 가격지수는 연준이 인플레이션 추이를 관찰할 때 가장 선호하는 물가 관련 통계지표로 알려져 있다. 연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는 평균 2%다.
변동성이 높은 에너지와 식료품까지 포함해 산출한 PCE 가격지수는 전월보다 0.4%, 전년 동월보다 4.3%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PCE 가격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1991년 1월 이후 최대폭이다. 에너지 가격이 24.9% 급등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이날 발표는 목표치를 크게 넘어선 물가상승 움직임이 내년에도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나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29~30일 의회에 잇따라 출석해 공급망 병목 현상을 인플레이션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그는 언제 인플레이션 압력이 진정될지 구체적으로 예상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Who] 트럼프에 맞서며 ‘캡틴 캐나다’ 된 온타리오 주지사
- 액체 로봇, 암치료에 등장하나…장애물 통과하고 흡수·합체까지
- [시승기] 카니발에 도전장 낸 혼다 패밀리카 ‘뉴 오딧세이’
- [단독] 커피숍, 작년에 1500곳 줄어… 통계 작성 60년 만에 첫 감소
- 정부, ‘종전 서막’ 우크라 재건 계획 자문 지원 나선다… “인프라 개발 기업 진출 토대 마련
- 계엄이 가른 관운… 9兆 굴리는 한국벤처투자 수장에 변태섭 대신 이대희 ‘깜짝’ 발탁 배경은
- [르포] “에르메스·샤넬 없는 게 없어… 단돈 15만원에 가져 가셔” 고속터미널 지하상가 ‘짝퉁
- 유럽 가는 방사청장… ‘바이 유러피안’ 속 수출 논의
- 달걀값 폭등한 美 “한국산 달걀 더 많이 수입”
- “비용 줄여라”… SK 계열사, 비싼 그랑서울서 방 뺄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