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M] 대형 덤프트럭 직접 타보니..'위험천만 사각지대'

2021. 10. 1. 20: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최근 서울 선릉역 사거리에서 오토바이 배달 기사가 덤프트럭에 치여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트럭 운전사가 사이드미러로 오토바이를 제대로 보지 못했기 때문인데, 이렇게 운전자가 보기 어려운 자동차 옆 사각지대는 사고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덤프트럭 '사각지대'가 얼마나 위험한지, 김민형 기자가 직접 트럭에 탑승해서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지난 20년 동안 25톤 덤프트럭을 몰아 온 신호생 씨.

오랜 운전 경력에도, 도로에 나설 때마다 아찔한 순간이 많습니다.

▶ 인터뷰 : 신호생 / 덤프트럭 기사 - "저희는 차가 덩치가 크고 짐을 싣으면 중량이 한 40톤 정도 나가서 급제동이 잘 안 되니까. 최고 위험한 게 우회전할 때죠. 사각지대의 제일 많은 부분이 우회전할 때 생깁니다."

가장 큰 사각지대는 조수석 문 바로 옆.

보행자가 트럭 코 앞까지 걸어가도, 조수석 거울엔 보이지 않습니다.

▶ 스탠딩 : 김민형 / 기자 - "이렇게 조수석 거울엔 아무 것도 비치지 않지만, 저는 트럭 바로 옆에 서 있었습니다. 트럭 오른쪽 사각지대에 서 있는 보행자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덤프트럭이 우회전할 때 사각지대가 어느 정도로 생기는지 실험해 봤습니다.

- "어디 갔지, 오토바이가…. 어, 어!"

미리 약속한 대로 경적을 울리지 않았더라면, 오토바이가 우회전하던 덤프트럭과 그대로 충돌할 뻔 했습니다.

차체가 더 큰 승용차가 있어도 비슷한 상황이 만들어집니다.

트럭은 우회전할 때 옆 차량과 부딪히지 않으려고 회전 반경을 크게 해서 도는데, 이 때 옆에서 차량이 끼어들면 피하기 어렵다는 게 덤프트럭 기사의 설명입니다.

▶ 인터뷰 : 신호생 / 덤프트럭 기사 - "(트럭) 뒷부분이 좌측이나 우측을 다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우회전할 때) 좀 크게 도는 거예요. 근데 공간이 나니까 승용차들이 가운데로 끼어드는 거죠."

덤프트럭과 오토바이, 승용차가 나란히 도로를 달릴 때는 더 위험한 상황이 벌어집니다.

순식간에 운전자의 시야에서 사라지는 오토바이.

▶ 인터뷰 : 신호생 / 덤프트럭 기사 - "아예 없습니다, 오토바이가. 지금 바짝 붙었죠."

승용차도 조수석 거울에서 감쪽같이 사라집니다.

덤프트럭 운전자가 까딱 한눈을 팔았다간 옆에서 다가오는 차량을 놓쳐 대형 사고로 이어지기 십상입니다.

▶ 인터뷰 : 하승우 / 한국교통안전공단 안전관리처장 - "덤프트럭처럼 차체가 높은 자동차의 주변 가까운 반경 한 1~2m 부근 앞쪽이나 측면, 뒷쪽은 거의 안 보이게 되죠. 가급적이면 큰 화물차 가까이 가지 않는 것이 큰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다…."

덤프트럭과 대형 화물차 사고는 매년 3만 여건.

덤프트럭 운전자의 각별한 주의도 필요하지만, 덤프트럭 주변에서 무리한 앞지르기는 하지 않는 게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MBN뉴스 김민형입니다. [ peanut@mbn.co.kr]

영상취재 : 김현석 기자 영상편집 : 김경준 그래픽 : 박성훈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