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 "韓 최고 정산율"..여야 "창작자 고충 몰라"(종합)
이진수 카카오엔터테이먼트 대표가 '카카오웹툰'·'카카오페이지' 등 웹툰 플랫폼이 작가에 과도한 수수료를 떠넘긴다는 지적에 대해 "국내뿐 아니라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정산율을 제공한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여야 의원들은 "작가들은 죽겠다고 하는데 카카오엔터는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 대표는 1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참석해 "애플 앱스토어가 인앱결제를 강제하면서 애플 30%, 카카오엔터 10%, 창작자 60%를 가져가는 표준계약을 체결하고 있다"라며 "(구글) 안드로이드에선 5~6% 결제수수료가 나와 구글 5%, 카카오엔터 25%, 창작자 70%를 가져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증인으로 참석한 김동훈 웹툰작가노조위원장이 웹툰 플랫폼에서 30~50%의 수수료율을 가져간다고 지적하자 이같이 답한 것이다.
또 카카오엔터는 작품의 수익이 나기 전 일정금액의 인세를 선지급하는 조건으로 45%의 수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카카오엔터는 45%의 수수료를 받더라도 여러 가지 마케팅 정산 등이 더해져 실제로는 창작자에게 66% 이상 돌려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올해는 정산비율이 72~74%까지 확대될 것이란 설명이다.
이 대표는 "웹툰은 일반 출판물처럼 완성된 작품을 유통하는 게 아니라 길게는 10~20년간 연재하기 때문에 변수가 많은데, 회사가 모든 리스크를 지는 조건으로 10% 수수료를 추가로 받는 것"이라며 "45% 수수료를 받더라도 실질적으로는 구글 9%, 카카오엔터 25%, 창작자 66%로 나눴다"라고 말했다.
카카오엔터는 자회사로 둔 CP가 표준계약서를 쓰지 않거나, 2차 저작물 독점 계약을 강요하는 등 불공정행위를 하는지 전수조사하겠다고 약속했다. 카카오엔터는 올해 2분기 기준 웹툰·웹소설 자회사 7개와 손자회사 1개를 보유하고 있다. 이 대표는 "공정거래법 취지를 살려 선도적인 모델로 개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번 국정감사를 계기로 성장에 취해있던 부분을 깊이 반성해야겠다"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웹툰은 웹툰 작가로부터 30%의 수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CP를 거치지 않고 작가와 직접 계약하는 형태다.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는 "네이버웹툰은 88%의 작가분들과 직접 계약하기 때문에 (CP를 거치는) 구조와는 관련이 낮다"라고 말했다. 네이버가 최근 인수한 '문피아'가 2차 저작물 관련 불공정계약을 맺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인수한지 얼마 안돼 미처 확인하지 못한 부분이 있을 수 있어 관련 CP나 문피아에서 그런일이 없도록 잘 챙기겠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여성환자 진료중 '최대한 안 보겠다'던 의사…몰카 찍었다" - 머니투데이
- 샤넬 들고 튀었다…80대 할머니, 강남서 20대 여성 가방 '슬쩍' - 머니투데이
- "몰라보겠네"…'47세' 이의정, 셀카 속 더 어려진 근황 - 머니투데이
- '오징어게임' 정호연, 9살연상 남친 이동휘 언급 "아빠 같기도" - 머니투데이
- "넌 씨 제공자일 뿐"…남편, 정자은행 취급 후 이혼한 아내 - 머니투데이
- 압도적 연속 우승…안세영 "내가 가는 길이 곧 기록이 될 것" - 머니투데이
- 돌아올 줄 알았는데 두 번 외도…"베트남 여성을 파트너로" - 머니투데이
- 친절한 노인의 따라갔더니…술집서 금발 여성이 "한 잔 사라" - 머니투데이
- 崔권한대행, 트럼프 취임 축하메시지 "한미동맹을 다시 위대하게" - 머니투데이
- 심현섭, 11세 연하 연인 부모에 결혼 승낙받아…"봄에 식 올린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