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SLBM 잠수함 앞 울려 퍼진 '인천상륙작전' 노병의 목소리

송영찬 2021. 10. 1. 15: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최대 수송함인 '마라도함'의 갑판 위에 붉은 해병 모자를 쓴 90세의 노병이 섰다.

 인천상륙작전과 서울 수복작전 등에 직접 참여한 해병 1기 이봉식 옹이다.

해병대 1사단장이 대통령에게 출동신고를 하는 것으로 '피스메이커'라는 작전명이 붙은 대규모 합동상륙작전이 시작됐다.

 공중에서 수리온, '블랙호크', 마린온 등 육군·해병대의 기동헬기 편대와 아파치 공격헬기 등이 이들을 수호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병대 1기 이봉식 옹이 1일 경북 포항 영일만 해상 마라도함에서 열린 제73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국민의례 맹세문을 낭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최대 수송함인 ‘마라도함’의 갑판 위에 붉은 해병 모자를 쓴 90세의 노병이 섰다. 인천상륙작전과 서울 수복작전 등에 직접 참여한 해병 1기 이봉식 옹이다. 이 옹이 국기에 대한 경례 맹세문을 낭독하는 동안 갑판 위에 있던 대통령과 군 장병들이 전방의 태극기를 향해 경례했다.

이들이 향해 선 태극기는 우리 군 최초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탑재할 수 있는 국내 최초 3000t급 잠수함인 ‘도산안창호함’에 걸려 있었다.

대형 태극기가 게양된 국내 첫 3000t급 잠수함 '도산안창호함'이 1일 국군의날 기념식이 진행된 마라도함 앞을 항해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사상 첫 해병대 주관 국군의날 기념식

마라도함 갑판 위에 각 부대 깃발을 든 군 장병들이 도열해 있다. 국방부 제공

제73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이 1일 사상 처음으로 해병대 주관으로 포항 영일만 일대서 열렸다. 기념식은 문재인 대통령이 ‘마린원(마린온 1호기)’을 타고 마라도함에 내리는 것으로 시작됐다. ‘미니 항모’라 불리는 국내 최대 수송함 마라도함은 지난 6월 취역 이래 이로써 첫 임무를 수행했다. 대통령에 대한 경례 구호에 마라도함 앞에 있던 4900t급 상륙함 ‘천왕봉함’이 군 통수권자를 상징하는 21발의 예포를 발포했다.

제73주년 국군의 날 미디어 데이가 30일 경북 포항시 남구 도구해안에서 열린 가운데 특전사 요원들이 해안으로 강하하고 있다./ 뉴스1


국방부 군악대대 성악병들이 부르는 애국가가 시작되자 상공에서는 육·해·공·해병대 특수부대 요원들이 강하를 시작했다. 이들은 각기 태극기와 함께 19개의 국군 해외파병 부대기를 들고 강하했다. 한국의 유엔 가입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서다.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1일 경북 포항 영일만 해상 마라도함에서 열린 제73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공군·해군 공중전력 시범이 펼쳐지고 있다. 연합뉴스


해병대 1사단장이 대통령에게 출동신고를 하는 것으로 ‘피스메이커’라는 작전명이 붙은 대규모 합동상륙작전이 시작됐다. 대통령과 군 지휘부가 마라도함 함상에서 지켜보는 가운데 스텔스 전투기 F-35A와 F-15K, KF-16 등으로 구성된 공군 전투기 편대가 해안가에 공격을 퍼부었다. 육군의 공격헬기 아파치, 기동헬기 ‘수리온’,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도 공중에서 해안으로 돌격하기 시작했다. 


공군의 주력 헬기인 F-15K가 플레어를 발사하자 해병대 특수수색대 요원들이 소형 고무보트(IBS)를 타고 해안으로 접근해 수중장애물을 폭파했다. 갈색과 흰색 연막탄 뒤로 해병대 대원들을 싣고 해안으로 상륙하는 상륙돌격장갑차(KAAV) 64대와 IBS 48척이 해안을 향해 돌진하기 시작했다. 공중에서 수리온, ‘블랙호크’, 마린온 등 육군·해병대의 기동헬기 편대와 아파치 공격헬기 등이 이들을 수호했다. 해안에 상륙한 해병대원들이 쏟아져 돌격하며 목표를 점령하고 태극기를 올렸다.

 육해공 및 해병대, 2300여명의 장병 동원

국군의날 기념식에서 적군의 점령지역을 탈환하는 방식의 상륙작전이 진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육·해·공·해병대 각 군은 첨단 전력과 2300여명의 장병들을 총동원했다. 


이날 사상 초유의 국군의날 기념식은 북한이 연이어 무력 도발에 나서는 가운데 우리 군의 도발 억지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서라는 분석이 나온다. 기념식 거행 장소에도 의미가 담겼다. 포항은 6·25전쟁 당시 북한군의 점령지역을 탈환하기 위한 유엔군 최초의 상륙작전인 장사 상륙작전이 펼쳐진 곳이다. 유엔군은 당시 북한군을 교란하기 위해 인천 상륙작전과 같은날 정반대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장사 상륙작전을 수행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포항 영일만 해상의 마라도함에서 국군의날 기념사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강한 국군’을 강조한 문 대통령은 지난달에만 4차례의 미사일 도발에 나선 북한을 직접적으로 거론하지는 않았다. 다만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그 어떤 행위에 대해서도 정부와 군은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에둘러 표현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위협을 강조하는 대신 군 통수권자로서의 자신의 책무가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만들고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군에 대한) 신뢰와 자부심을 바탕으로 한반도 종전선언과 ‘화해와 협력’의 새로운 시대를 국제사회에 제안했다”며 종전선언 제안을 재차 확인했다.

포항=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