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총리 베이징 올림픽에서 "남북 고위급 당국자 자연스레 만날 수 있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부겸 국무총리가 내년 2월 열리는 베이징겨울올림픽에 북한의 참가가 허용되면 "남북 고위 당국자가 자연스레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국무총리는 1일 공개된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 인터뷰에서 2022년 말까지 북한의 올림픽 참가자격을 정지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지난달 초 결정과 관련해 "(북한에 대한) 관대한 조처를 바란다. 그렇게 되면(북한이 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게 되면) 남북 고위급 당국자가 자연스럽게 베이징에서 만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적극적으로 국제올림픽위원회와 의사소통을 하겠다"고 밝혔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IOC에 적극 의사소통할 의사 있어" 니혼게이자이신문>
김부겸 국무총리가 내년 2월 열리는 베이징겨울올림픽에 북한의 참가가 허용되면 “남북 고위 당국자가 자연스레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마지막 정상회담’의 유력 후보지로 베이징을 염두에 놓고 있는 정부의 속내를 읽을 수 있다.
김 국무총리는 1일 공개된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 인터뷰에서 2022년 말까지 북한의 올림픽 참가자격을 정지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지난달 초 결정과 관련해 “(북한에 대한) 관대한 조처를 바란다. 그렇게 되면(북한이 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게 되면) 남북 고위급 당국자가 자연스럽게 베이징에서 만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적극적으로 국제올림픽위원회와 의사소통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남북 고위 당국자’가 누구인지 명확히 밝히진 않았지만, 남북의 정상인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을 의식한 발언이라고 해석된다. 신문도 내년 5월로 예정된 “문 대통령 임기가 끝나기 전에 열리는 베이징올림픽을 북한 문제를 움직일 수 있는 기회로 삼으려는 (한국 정부의) 의도”가 읽힌다고 평했다. 북한이 올림픽에 참가하면 김정은 위원장도 ‘혈맹’인 중국의 수도에서 개최되는 올림픽 개막식에 참가하는 결단을 내릴 수 있고, 자연스레 남북 정상이 만나게 될 수 있다.
문재인 정부는 그동안에도 ‘인류 평화의 상징’인 올림픽을 꽉 막힌 한반도 정세를 돌파하는 데 적극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여왔다. 정부는 2018년 2월 열린 평창겨울올림픽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기적적으로 시작되는 데 큰 구실을 했다고 보고, 지난 7~8월 열린 도쿄올림픽과 내년 2월로 예정된 베이징올림픽을 현재의 장기 교착 국면을 벗어날 수 있는 ‘계기’로 삼기 위해 처절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왔다. 북한 역시 지난 25일 ‘김여정 담화’에서 “북남 수뇌상봉”을 언급하는 등 묘한 여운을 남긴 바 있다.
한편, 김 총리는 4일 일본의 100대 총리로 취임하게 되는 기시다 후미오 신임 자민당 총재를 향해 “양국 관계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는 메시지를 던졌다. 또 최악의 상태로 방치돼 있는 양국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한-일 간 인적 왕래를 재개할 수 있는 안을 검토해 일본에 제안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
Copyright©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인당 최대 20만원’ 상생소비지원금 신청하세요
- 접종완료율, 218일 만에 전 국민 50% 넘었다
- 검찰, 대장동 의혹 ‘키맨’ 유동규 체포… ‘윗선’ 수사로 이어지나
- [갤럽] 문 대통령 5년차 2분기 지지율 39%…역대 가장 높아
- 김부겸 총리 베이징 올림픽에서 “남북 고위급 당국자 자연스레 만날 수 있어”
- “17살에 성폭행으로 임신중지”…미 여성의원, ‘임신중지권 옹호’ 눈물
- 결혼식 199명·돌잔치 49명까지 참석 가능…현행 거리두기 2주 연장
- [단독] “이제야 고통의 이유 찾았다”…2030여성 ADHD 4년새 7배
- [ESC] 몸뻬 입고 아궁이에 불 때고…MZ세대는 시골에서 휴가 중
- 기후변화 500년 후, 먹거리 재배 최적의 장소는 “극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