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나쁜 놈'과 '정치인'
필자가 즐겨 읽는 책 중의 하나가 <계림유사>라는 책이다. 송나라의 손목(孫穆)이라는 사람이 1103년 고려에 사신을 수행하고 왔다가 당시 고려의 조제, 풍토 등 약 360개의 어휘를 채록하여 정리한 책이다. 예를 들면 “天曰 漢捺(天하늘)을 ‘ᄒᆞ날’이라고 한다)”와 같이 서술해 놓은 것으로 우리말 고어와 중국어를 동시에 공부하기 좋다. 다만 현대의 발음이 아니고 북송시대의 발음이라는 것과 고려어도 개성의 방언이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고려시대의 음성학에도 조예(造詣 : 학문이나 지식에 경험이 깊은 경지에 이른 정도)가 깊어야 한다. 아무튼 그 책에 보면 “高曰 那奔(‘높다’는 ‘나쁜’이라고 한다.)”이라는 문장이 있다. 필자의 눈에 확 들어오기에 적당한 글이었다. 그러니까 과거에는 ‘높은 사람’을 ‘나쁜 놈’이라고 불렀던 것이다. 원래 ‘놈’이라는 말이 일반적인 사람을 가리키던 말이라는 것은 훈민정음 서문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나라의 말씀이 중국과 달라서 문자가 서로 통하지 않는다. 그래서 자기의 뜻을 쉽게 펴지 못하는 놈이 많다.”라고 했다. 여기서 ‘놈(者)’은 그냥 ‘사람’을 지칭하는 말인데, 요즘에 와서는 낮춤말로 변한 단어다. 말의 의미는 항상 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연구해야 하는 것이 어휘연구의 기본이다. 그러니까 예전에도 고관(高官 : 나쁜 놈)들이 높은 자리에 앉아서 백성들의 고혈을 짰던 모양이다. 그래서 지금은 그 의미가 정말로 ‘나쁘다(bad)’의 의미로 바뀌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꼰데’라는 말도 원래는 스페인어로 고관(高官, 백작=conde)을 이르는 말이었다. 백작들이 서민들을 못살게구니까 우리나라에 와서는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 혹은 괴롭히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쓰이게 되었고, 어미 변화의 과정을 거쳐 지금은 ‘꼰대’라고 부르고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나쁜 놈’의 어원과 ‘꼰대’의 어원이 어찌 이리 비슷할 수 있는가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내친 김에 독자들에게 숙제나 내고 마무리하기로 하자.
어째서 시인에게는 ‘가(家)’라는 표현을 쓰지 않을까? 화가는 전문가인데, 시인은 전문가가 아닌가? 그냥 ‘시가(詩家)’라고 하면?
[최태호 중부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의 한 문장은 무엇인가요?"
- 김정은, 남북통신선 재개 약속 다음날 미사일 발사
- 사회적 거리두기 2주 다시 연장...사적 모임 제한도 17일까지 유지
- '추방 입양인' 영화를 '추방 입양인'이 보이콧 하는 이유
- 문재인과 BTS, 그리고 다음 대통령의 취임사
- 이제는 '탄소중립'을 넘어서야 한다
- 현대중공업 또 중대재해 발생...포크레인에 치인 하청업체 직원 숨져
- 성김 "北미사일 발사,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미국은 북한 적대시 않는다"
- 서울대 청소노동자 유족, 산재 신청..."국회의원 아들은 44억이라는데..."
- 국회의원 아들의 퇴직금을 보며, 기본소득 재원의 공통부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