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연락선 복원" 다음날 미사일 발사..'투트랙 기조' 뚜렷

이정진 2021. 10. 1. 09: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지난달 30일 신형 반항공(反航空·지대공)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것은 남북관계 복원 등 정세와는 별개로 국방력 강화에는 계속 힘을 쏟겠다는 '투트랙 기조'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즉, 남측이 국방력 강화에 힘을 쏟으면서 북한과의 관계 개선도 도모하듯 북한도 미사일 시험발사와 별개로 남북관계 개선 의지는 있다는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여정, 정상회담 언급→극초음속미사일→김정은 연설→지대공미사일..냉온탕 오가
'남북관계 개선과 별도로 국방력 강화' 의지..정부, 대응수위 고민 깊어져
북한 미사일 시험 발사(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 북한이 지난달 30일 신형 반항공(反航空·지대공)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것은 남북관계 복원 등 정세와는 별개로 국방력 강화에는 계속 힘을 쏟겠다는 '투트랙 기조'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번 미사일 발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29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10월 초부터 남북통신연락선을 복원하겠다'고 밝힌 이튿날 이뤄졌다.

통신연락선 복원을 계기로 경색된 남북관계에 반전의 돌파구가 마련되리라는 기대감이 나오는 상황에서 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북한의 화해 제스쳐와 미사일 도발이 번갈아 나오는 최근 흐름이 재연됐다.

북한은 지난달 11∼12일 장거리 순항미사일을 발사하고 15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쏜 뒤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24∼25일 잇따라 담화를 내고 남북관계 개선의 의지를 강조했다.

24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종전선언에 대해 "좋은 발상"이라고 하더니 25일에는 조건이 달려있긴 했지만, 남북정상회담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그러나 사흘 뒤인 28일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고 29일 김정은이 시정연설에서 '연락선 복원'을 언급하더니 30일엔 반항공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것이다.

그야말로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것으로, 이는 북한이 자신들의 국방력 강화를 '도발'로 보지 말라는 주장을 극대화하기 위한 의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2일차 최고인민회의에서 시정연설하는 김정은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9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5차 회의 2일 회의에서 시정연설을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10월 초부터 남북 통신연락선을 복원할 의사를 표명하고, 미국의 새 행정부에 대해서는 '군사적 위협과 적대시 정책이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다'고 평가했다. 2021.9.30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북한은 최근 김정은 위원장의 시정연설과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에서 반복적으로 남측에 '이중 기준'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남측의 미사일 발사는 '대북 억지력'이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도발'로 규정하는 데 대한 불만으로, 북한은 자신들의 미사일 시험발사가 지난 1월 8차 노동당 대회에서 제시한 '국방과학 발전 및 무기체계개발 5개년 계획'에 따른 것을 뿐 도발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김여정 부부장은 '국방과학 발전 및 무기체계개발 5개년 계획'이 남측의 '국방중기계획'과 같다고까지 설명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이 연설에서 "우리는 남조선을 도발할 목적도 이유도 없으며 위해를 가할 생각이 없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즉, 남측이 국방력 강화에 힘을 쏟으면서 북한과의 관계 개선도 도모하듯 북한도 미사일 시험발사와 별개로 남북관계 개선 의지는 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이 시정연설에서 "적대세력들의 군사적 준동을 철저히 억제할 수 있는 위력한 새 무기체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힌 대로 북한은 앞으로도 미사일 시험발사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면서도 연락선을 복원하는 등 남측에 화해 손짓도 병행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북한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결의에 따라 탄도미사일 발사가 금지됐다는 점에서 남측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지적이다.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두고 도발로 부르지 말라는 것은 대북제재를 무력화하라는 것과 같은 얘기다.

이에 따라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도모하면서도 북측의 탄도미사일 발사에는 미국 등과 보조를 맞춰 대응해야 하는 우리 정부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에 '유감'을 표명하면서도 이를 '도발'로 규정하지는 않았던 데서도 이런 고민이 묻어난다. 미국은 당시 발사를 탄도미사일로 규정하고 유엔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해 한국과 온도 차가 감지됐다.

transil@yna.co.kr

☞ 가슴 달린 남자·수염 나는 여자…요즘 늘어난 이유?
☞ 호날두도 주유대란 못 피해…운전기사 7시간 대기 후 포기
☞ 코로나 규정 어겼다며 체포인척 女납치해 성폭행후 살해한 경찰
☞ '식당 성추행' 前챔피언 복서 "때려서 방어한 것"
☞ 재력가 등쳐 72억 챙긴 여성사기범…수입차 37대 쇼핑
☞ 코로나 검사비로 6천400만원 '폭탄 청구서' 내민 미 병원
☞ '오징어 게임' 우산 달고나 도전하고 싶다면 대학로에
☞ 임신부 배 걷어차 유산시킨 만취 남성 무죄, 이유가?
☞ 무엇이 20대 여성을 절박하게 하나...급증하는 극단선택
☞ 독수리와 충돌한 고속도로 순찰차 앞유리 박살나며 '아찔'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