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뿐 아니라 미국도..전통 금융맨, 가상자산 업계로 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전통 금융권 출신들의 가상자산(암호화폐) 업계 이직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외신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헤드헌팅 기업 햄린 윌리엄스(Hamlyn Williams)는 가상자산 시장으로 금융권 전문가들의 이직 수요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햄린 윌리엄스의 금융서비스 담당 브라운 이사는 "지난 5개월 동안만 핀테크 및 가상자산 기업에 7명의 CCO를 배치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전통 금융권 출신들의 가상자산(암호화폐) 업계 이직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외신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헤드헌팅 기업 햄린 윌리엄스(Hamlyn Williams)는 가상자산 시장으로 금융권 전문가들의 이직 수요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최근 몇 달간 가상자산 기업들이 최고준법감시책임자(CCO)를 비롯한 규제 준수 관련 인력 확대에 나서면서 은행과 더불어 전직 규제 당국 인력 및 핀테크 기업들의 인재를 찾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가상자산 관련 스타트업의 연봉은 전통 금융 기관의 수준을 점점 따라잡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 기업이 CCO에 제시하는 연봉은 대략 25만~45만 달러(한화 약 3억~5억3000만원) 가량에 주식 지분을 추가로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햄린 윌리엄스의 금융서비스 담당 브라운 이사는 "지난 5개월 동안만 핀테크 및 가상자산 기업에 7명의 CCO를 배치했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에서도 기존 금융권 종사자 및 규제기관 공직자의 가상자산 시장으로의 이동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의 운영사 두나무는 대신증권 애널리스트와 금감원 핀테크 부서 부국장을 영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법무부장관을 보좌하던 현직 검사가 국내 대형 가상자산 거래소로 옮기기 위해 사표를 냈다 논란이 되면서 이직이 무산된 바 있다.
양한나 블루밍비트 기자 sheep@bloomingbit.io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s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찰칵 찰칵'…2030 女 패션쇼장 된 골프장
- 막걸리 한 병에 '11만원' 넘는다고?…"없어서 못 판다"
- 삼성전자 대신 이걸 샀다면…'뭉칫돈' 몰리는 곳
- SK, "화천대유 실소유주는 최태원" 주장한 열린공감TV '고발'
- "민노총이 던킨 도너츠 '이물질' 제보 영상 조작"
- 김소영, "엉덩이 있는 편이라" 청바지+티 패션…♥오상진 박수 이모티콘 [TEN★]
- "활 쏘기 싫다"…안산, 연습 중단…첫 고정 예능 부담됐나 ('워맨스가 필요해')
- 이병헌, 이민정 두고 미국行?…박물관서 포착 [TEN★]
- 박한별, 남편 유인석 범죄로 잠적→제주도 카페 차린 근황 공개 [종합]
- BTS 정국, 친형이 만든 티셔츠 입었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