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백신 거부 해고 시작..'의무화 진통' 본격화

김양순 2021. 9. 30. 21:2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미국에선 연방정부와 대기업 직원 등은 백신을 맞지 않으면 일을 그만두게 하는 백신 의무화 정책을 시행중입니다.

실제 해고 사례까지 나오고, 백신 맞으라는 압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양순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안타깝지만 오늘부로 백신을 맞지 않은 직원들의 고용 종료 절차를 시작합니다."

미 유나이티드 항공사가 전체 6만 7천여 직원 가운데 백신을 끝까지 맞지 않은 1%, 593명의 해고 절차에 돌입했습니다.

[스콧 커비/유나이티드 항공사 CEO : "항공사뿐 아니라 다른 기업들에게도 독려할 겁니다. 안전을 위해 올바른 일이라면 그냥 하십시오. 혼란이 발생할 겁니다. 하지만 그냥 하십시오."]

뉴욕의 병원과 학교에선 수천 명의 의료진과 교사들이 해고 위기에 놓였습니다.

주말까지 백신을 맞지 않으면 무급휴직을 하거나 일을 관둬야 하는 상황.

뉴욕 주지사는 다 같이 백신을 맞고 안전하게 일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불가피하다면 주 방위군을 대체인력으로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캐시 호컬/뉴욕 주지사 : "주 행정명령 권한에 따라 저는 의료 훈련을 받고 면허가 있는 주 방위군을 대체 투입할 수 있습니다."]

백신 반대론자들은 여전히 강경합니다.

의무화를 반대하는 집회가 미국 전역에서 일어나고 있고, 연방 법원에는 줄소송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애나 페티/물리치료사/백신의무화 반대 소송 : "저는 제가 병원에서 일했던 그 모든 시간 동안 신이 저를 보호해줬다고 믿습니다."]

이젠 정부도 백신 반대론자들에게 행정조치로 맞서고 있습니다.

인내심이 한계에 다다랐다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0일 연방정부와 대기업에 대해 백신 의무화를 선언했습니다.

그에 따른 분쟁이 이제 본격 시작됐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이진이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