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 "행정기관 해킹시도 5년간 2배 증가..국가사이버청 검토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 등 행정기관을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가 최근 5년간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이영(사진) 국민의힘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중앙부처·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 건수는 총 52만3797건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앙부처 지자체 해킹시도 건수 총 52만건
웹해킹 83.5%..비인가접근·서비스거부 順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 등 행정기관을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가 최근 5년간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킹 시도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웹해킹을 통한 해킹 시도가 43만7582건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사례의 83.5%였다. 이어 △비인가접근 4만1875건(8.0%) △서비스거부 1만3207건(2.5%) △악성코드 1만1745건(2.2%) △기타 1만9388건(3.7%) 순으로 드러났다.
인터넷 주소(IP) 기준으로 공격이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 13만9435건, 미국 9만1414건, 한국 4만7773건, 러시아 1만9199건 순이었다.
사이버 침해사고 등 정보보호를 전담하는 정보보호 인력은 정부 기관별로 편차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43개 중앙부처의 정보보호 인력은 지난해 기준 총 259명, 평균 6명으로 집계되었다. 기관별로 살펴보면 정보보호 인력이 가장 적은 곳은 소방청(1명), 인사혁신처(1명), 국가인권위원회(1명), 여성가족부(2명) 순이었다.
또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정보보호인력은 총 136명, 평균 8명으로 조사됐다. 제주도가 4명으로 가장 인원이 적었으며 울산, 경북, 충북 역시 6명에 그쳤다.
이러한 행정기관에 배치된 정보보호인력은 행정안전부가 연구용역한 정보보호 적정인력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2018년 행정안전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연구용역한 ‘공공분야 정보보호 적정인력 산정모델 수립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중앙부처의 최적인원은 평균 17명, 최소인원은 평균 9명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최적인원은 평균 22.62명, 최소인원은 평균 12명으로 제안했다.
이에 이영 의원은 “초연결 시대에 사이버 공격이 민간, 공공 가릴 것 없이 전방위적으로 확대되며 피해 규모도 늘고 있다”면서 “정부는 실효성 있는 보안 정책 수립해 정보보호 전문 인력 확보는 물론, 사이버안보를 총괄 대응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인 국가사이버청 신설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태진 (tjpark@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아리팍' 42억에 놀란 국토부, 市에 "여의도개발 발표 연기"
- '가계대출 급증' 불똥 튄 카뱅..신규 마통 중단 (종합)
- 트로트 가수 신웅, 강간 혐의 '징역 4년' 법정 구속
- 다른 남성과 불륜 중에…영상통화로 남편에 생중계 한 아내
- "호의 베풀었지만 노숙자는 시신에 쌀·소금까지 뿌렸다"
- 제네시스 첫 전기차 'GV60' 스펙 공개..."긴 충전 거리에 첨단 기술까지"(종합)
- "곽상도 아들은 50억 받았는데"…유족, 숨진 서울대 청소노동자 산재신청
- 現 거리두기 또 연장·방역수칙 완화 '극히 일부' 전망…'백신패스' 논란↑(종합)
- [단독]136만개 플라스틱컵 뿌린 스벅, 美·유럽은 재사용컵에 공짜커피
- 최경주 "챔피언스 투어요? 천국이죠..'ATM투어'라고 불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