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제조업 경기 코로나 이후 '최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기업들의 경기 전망을 나타내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기준선(50) 아래로 내려갔다.
원자재 가격 급등과 전력난 여파로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 경기가 위축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진단이 나온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9월 제조업 PMI가 전달(50.1)보다 하락한 49.6에 그쳤다고 30일 발표했다.
9월 PMI가 50 아래를 밑돈 것은 중국 경기가 둔화됐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원자재값 급등·전력난 여파
중국 기업들의 경기 전망을 나타내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기준선(50) 아래로 내려갔다. 원자재 가격 급등과 전력난 여파로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 경기가 위축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진단이 나온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9월 제조업 PMI가 전달(50.1)보다 하락한 49.6에 그쳤다고 30일 발표했다. 지난 3월 올해 최고치인 51.9로 집계된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다가 9월 기준선인 50 밑으로 떨어진 것이다. PMI가 50을 넘지 못한 것은 코로나19 충격이 극심했던 지난해 2월(35.7) 이후 1년7개월 만이다.
PMI는 제조업 경기 확장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선행 지표다.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하며 50이 넘으면 경기 확장, 50에 못 미치면 경기 위축 국면을 뜻한다. 9월 PMI가 50 아래를 밑돈 것은 중국 경기가 둔화됐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더해 최근에는 전력난까지 덮치며 일부 공장 가동이 중단된 게 경기 위축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중국 CCB국제증권의 추이 리 연구원은 “공급망 교란이 매우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앞으로 몇 달 동안 공급망 문제가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정부는 전력난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용 전기료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기료를 올려 발전업체들이 전력 생산량을 늘리는 유인을 제공하는 동시에 소비자들의 전력 수요를 줄이겠다는 목적이다. 이번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는 블룸버그통신에 “전기료를 일률적으로 올리거나 석탄 가격과 연동하는 방식으로 요금 인상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가정용 전기요금 인상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석탄 수입도 적정한 수준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중국이 호주와 갈등을 빚으면서 호주산 석탄 수입을 전면 중단한 결과 이번 전력난이 발생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찰칵 찰칵'…2030 女 패션쇼장 된 골프장
- 막걸리 한 병에 '11만원' 넘는다고?…"없어서 못 판다"
- 삼성전자 대신 이걸 샀다면…'뭉칫돈' 몰리는 곳
- "민노총이 던킨 도너츠 '이물질' 제보 영상 조작"
- SK, "화천대유 실소유주는 최태원" 주장한 열린공감TV '고발'
- 김소영, "엉덩이 있는 편이라" 청바지+티 패션…♥오상진 박수 이모티콘 [TEN★]
- "활 쏘기 싫다"…안산, 연습 중단…첫 고정 예능 부담됐나 ('워맨스가 필요해')
- 이병헌, 이민정 두고 미국行?…박물관서 포착 [TEN★]
- 박한별, 남편 유인석 범죄로 잠적→제주도 카페 차린 근황 공개 [종합]
- BTS 정국, 친형이 만든 티셔츠 입었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