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의 발견 50주년, 여전히 물속에서 허우적대는 '울산 반구대암각화' [현장에서]

글·사진 백승목 기자 2021. 9. 30. 14: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울산 남구 문수실버복지관 회원들이 지난 29일 반구대암각화 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바위면에 새겨진 암각화를 감상하고 있다.

울산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천 암벽에 새겨진 반구대암각화(국보 제285호)는 한반도 선사인들의 생활상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반구대암각화는 전체 높이 약 70m, 너비 20여m 바위면 중 높이 2.5m, 너비 9m 범위에 고래·호랑이·사슴·멧돼지 등 300여점이 새겨져 있다. 문명대 동국대명예교수가 1971년 대곡천 주변을 탐사하던 중 인근 주민들의 협조를 받아 이를 발견하고 학계에 보고했다. 올해로 암각화를 발견한 지 50년이 되는 것이다. 울산암각화박물관은 ‘암각화 발견 50주년’을 맞아 10월부터 사진전·국제학술대회·초청강연 등 기념행사를 잇따라 연다.

하지만 정작 반구대암각화는 보존대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반세기 이상 수몰 피해를 면치 못하고 있다. 대곡천 하류에 있는 사연댐의 수위가 오르면 암각화는 어김없이 물 속에 잠긴다. 사연댐은 암각화가 발견되기 6년 전인 1965년 울산 식수원으로 건설됐다. 특히 별도 수문이 없어 댐물이 만수위 이상 오르면 저절로 넘쳐흐르는 ‘월류’ 형태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암각화 수몰은 연중 7~8개월 동안 계속된다.

울산 남구 문수실버복지관 회원들이 지난 29일 반구대암각화를 탐방하면서 문화관광해설사의 설명을 듣고 있다.


지난 29일 오후 찾은 반구대암각화는 간신히 물 밖으로 일부 모습만 보였다. 암각화 탐방에 나선 60~70대 10여명 어르신 중 한 남성은 “암각화가 무려 7000년 전에 새겨진 거랍니다”라고 동행인들에게 설명했다. 옆에 있던 한 여성은 “정말요? 그래서 역사시대 이전의 선사유적이구나”라며 관심을 보였다.

탐방객들은 유적 실물을 자세히 살펴볼 수 없다는 점을 안타까워했다. 반구대암각화는 대곡천 건너편 약 80여m에 설치된 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만 볼 수 있다. 최삼순 문화관광해설사는 “탐방객 대부분이 해설사들의 자세한 설명을 듣고서야 반구대암각화를 이해한다”며 “실물을 가까이에서 또렷하게 볼 수 없는 것을 매우 아쉬워한다”고 말했다.

울산의 한 문화단체가 조속한 보존대책을 촉구하며 반구대암각화 진입로에 내건 현수막 옆으로 탐방객들이 지난 29일 암각화 전망대로 들어가고 있다.

반구대암각화 보존대책은 과거 20여년 동안 제자리 걸음에 머물러있다. 한때 가변형 투명 물막이 시설인 키네틱댐 설치 방안과 암각화 상류에 생태제방을 쌓고 대곡천 물 흐름을 일부 바꾸는 방안이 거론됐지만, 모두 부적절해 폐기됐다.

결국 사연댐 수위 조절이 반구대암각화 보존대책의 유일한 대안으로 떠올랐다. 댐 수위를 조절해 암각화가 위치한 53m 이하로 낮추자는 것이다. 댐의 만수위는 60m이다. 다만 울산의 대체 식수원 확보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경북 청도 운문댐 물과 낙동강 상류 물 공급을 놓고 울산·대구·구미 등 낙동강 수계 지자체간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해결책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송철호 울산시장이 지난 2일 반구대암각화 앞을 흐르는 대곡천에 들어가 암각화 보존대책의 시급성을 설명하고 운문댐 물의 조속한 울산공급을 촉구했다.│울산시 제공

반구대암각화 보존대책은 올해 6월에야 겨우 물꼬를 텄다. 환경부가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를 심의·의결하고, 운문댐 물의 울산 공급을 확정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울산시는 현재 사연댐 수문 설치 타당성 조사용역을 진행 중이다. 반구대암각화 보존대책 마련의 시급성을 감안해 용역기간을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오는 11월 끝내기로 했다.

보존대책이 차질없이 진행된다고 해도 사연댐 수위조절로 반구대암각화가 물 밖으로 완전히 나오기까지는 앞으로도 3년 넘게 더 걸릴 전망이다. 조규성 반구대암각화세계유산추진단장은 “수문설치 용역이 끝나면 수자원공사가 환경부의 국비를 지원받아 설계하고 시공할 것”이라며 “2024년쯤에나 수문설치를 통한 댐 수위조절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난 29일 대곡천 건너편 전망대에서 바라본 반구대암각화(국보 제285호)

글·사진 백승목 기자 smbae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