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요로운 수확의 계절과 함께하는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조용철 2021. 9. 30. 09: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밀양백중놀이 /사진=문화재청

[파이낸셜뉴스] 풍요로운 수확의 계절이 찾아왔다. 국가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이 지원하는 10월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가 한국문화재재단의 진행으로 전국 각지에서 펼쳐진다.

10월에는 전국에서 총 56건의 공개행사가 예정되어 있다. 서울 지역에서는 20건의 공개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사직단에서는 ‘종묘제례악’과‘사직대제’(10.16.)의 연합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민속극장 풍류에서는 ‘가야금산조 및 병창’(보유자 이영희, 10.2.), ‘거문고산조’(보유자 이재화, 10.3.), ‘학연화대합설무’(10.6.), ‘판소리’(보유자 정회석, 10.8.), ‘봉산탈춤’(10.9.), ‘판소리’(보유자 신영희, 10.10.), ‘대금정악’(보유자 조창훈, 10.13.), ‘살풀이춤’(보유자 정명숙, 10.23.), ‘가곡’(보유자 김경배, 10.29.) 그리고 ‘가야금산조 및 병창’(보유자 안숙선, 10.31.)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한국문화의집 코우스에서는 ‘태평무’(보유자 양성옥, 10.9.), ‘살풀이춤’(보유자 김운선, 10.16.), ‘가사’(보유자 이준아, 10.28.) 공개행사가 열리며, 진관사에서는 ‘진관사수륙재’(10.9.~10.), 경국사에서는 ‘불복장작법’(10.10.), 모노하 한남에서는‘누비장’(보유자 김해자, 10.19~23.), 고원각자연구원에서는 ‘각자장’(보유자 김각한, 10.21.~23.),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는 ‘태평무’(보유자 이명자, 10.28.)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구례잔수농악 /사진=문화재청

인천과 경기 지역에서는 4건의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인천전수교육관에서는 ‘화각장’(보유자 이재만, 10.15.~17.), 과천시 줄타기전수교육장에서는 ‘줄타기’(보유자 김대균, 10.2.), 양주시 양주별산대놀이마당에서는 ‘양주별산대놀이’(10.17.), 그리고 남양주시 전수교육관에서는 ‘대목장’(보유자 최기영, 10.22.)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대구 및 경북 지역에서는 5건의 공개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대구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는 ‘조각장’(보유자 김용운10.1.~3.), 경주시 전통명주 전시관에서는 ‘명주짜기’(10.1.~3.), 김천시 빗내농악전수관에서는 ‘김천금릉빗내농악’(10.2.), 문경시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관에서는 ‘사기장’(보유자 김정옥, 10.13.~15.), 그리고 안동시 하회별신굿탈놀이 전수교육관에서는 ‘하회별신굿탈놀이’(10.16.)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경남 지역에서는 8건의 공개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고성군 고성오광대 전수교육관에서는 ‘고성오광대’(10.4.)가 진행되며, 통영시 삼도수군통제영에서는 ‘두석장’(보유자 김극천, 10.8.~10), ‘갓일’(보유자 정춘모, 10.8.~10.), ‘소반장’(보유자 추용호, 10.8.~10.) 등 총 3인의 연합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창원시 백운사에서는 ‘아랫녘수륙재’(10.9.~10.), 밀양시 기회송림공원에서는 ‘밀양백중놀이’(10.11.), 사천시 선진리성 일원에서는 ‘진주삼천포농악’(10.16.), 산청군 목조각장 전수관에서는 ‘목조각장’(보유자 박찬수, 10.29.~11.7.)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부산시 기장군 학리항 가설무대에서는 ‘동해안별신굿’(10.23.) 공개행사가 진행되며 제주도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는 ‘갓일’(보유자 강순자, 10.15.~17.)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진도씻김굿 /사진=문화재청

전북 지역에서는 8건의 공개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열리는 무형문화재 종합축제‘2021 대한민국 무형문화재대전’에서‘궁시장’(보유자 박호준), ‘소목장’(보유자 박명배), ‘두석장’(보유자 박문열), ‘탕건장’(보유자 김혜정), ‘침선장’(보유자 구혜자), ‘옹기장’(보유자 김일만), ‘목조각장’(보유자 전기만) 등 총 7인의 기능합동 공개행사(10.8.~10.10.)가 펼쳐진다. 아울러 남원시 춘향문화예술회관에서는 ‘남원농악’(10.2.)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전남 지역에서는 5건의 공개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목포시 유달초등학교에서는 ‘옥장’(보유자 장주원, 10.8.~10.), 구례잔수농악전수관에서는 ‘구례잔수농악’(10.22.), 보성군 계심헌공예미술관에서 ‘낙죽장’(보유자 김기찬, 10.25.~29.), 장흥군 제와장 제와소에서는 ‘제와장’(보유자 김창대, 10.25.~31.), 진도군 무형문화재전수관에서는 ‘진도씻김굿’(10.30.)의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강원과 충청 지역에서는 총 3건의 공개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동해시 삼화사에서‘삼화사수륙재’(10.15.~17.) 공개행사가 진행되며, 충북 진천군 주철장 전수관에서 ‘주철장’(보유자 원광식, 10.22.~24.), 충남 당진시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에서‘기지시줄다리기’(10.22.~24.)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