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등병'과 '작대기 계급장' 사라질 듯.. '일병-상병-병장' 단순화 권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등병'이 사라지고 병사 계급체계가 '일병→상병→병장'으로 단순화될 전망이다.
합동위는 복무기간 감축을 고려해 현행 4단계(이등병→일등병→상등병→병장)인 병사 계급체계를 수정하라고 권고했다.
병사 계급체계가 바뀌려면, 국방부와 육해공군 지휘관 협의 등을 거쳐 군인사법을 개정해야 한다.
복무기간이 18개월(육군)로 단축된 이후 군 내부에서도 병사 계급을 단순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었던 만큼 개정은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군 당국의 분위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등병'이 사라지고 병사 계급체계가 ‘일병→상병→병장’으로 단순화될 전망이다. 병영문화 혁신기구인 민관군 합동위원회가 국방부에 권고한 내용으로, 군 당국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국방부에 따르면, 합동위는 전날 박은정 공동위원장과 서욱 국방부 장관 주관으로 열린 정기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권고안을 의결했다.
합동위는 복무기간 감축을 고려해 현행 4단계(이등병→일등병→상등병→병장)인 병사 계급체계를 수정하라고 권고했다. 이등병을 폐지하고 3단계로 단축하는 것이 골자다. 합동위는 “병장을 제외한 계급 명칭에 포함된 ‘등(等)’은 서열적 의미가 강해 위화감을 초래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현행 4단계 병사 계급체계는 1962년 이후 60년 가까이 유지돼 왔다.
병사 계급체계가 바뀌려면, 국방부와 육해공군 지휘관 협의 등을 거쳐 군인사법을 개정해야 한다. 복무기간이 18개월(육군)로 단축된 이후 군 내부에서도 병사 계급을 단순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었던 만큼 개정은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군 당국의 분위기다. 이등병은 입대 후 약 3개월 만에 일병으로 진급하는데, 3개월 차이로 선임과 후임이 갈리다 보니 갈등 요인이 되곤 했다.
합동위는 세칭 '작대기'형인 '일(一)자'형 병사 계급장을 바꾸라는 권고안도 의결했다. 장식 없는 일자형 계급장이 병사들을 충분히 예우하지 못한다는 인식이 있는 만큼, 무궁화 문양을 추가하거나 새로운 계급장을 만들라고 권고했다. 현재 일자형 계급장은 1971년 도입됐다.
정승임 기자 choni@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할머니 뱃속 암덩어리, ‘세 아들 뭐했나’ 원망했지만…
- 제시카 패션 브랜드, 80억 채무 불이행 피소...타일러 권 "억울해"
- 이재영 · 이다영 그리스 진출 확정…FIVB 이적 승인
- 아파트 유리창 닦던 20대 추락사...업체, 보조 밧줄 구비 요구 무시
- 채림 "아들 기억에 아빠란 존재 없어" 눈물
- 첫 보고에 "하하" 웃은 윤석열, '김만배와 수상한 주택거래' 대대적 반격
- 이재명 "이준석 파면하겠다" vs 이준석 "추악한 가면 찢겠다"
- 초6 남학생이 담임 여교사에 성희롱 논란...교사들 "극한 직업" 한숨
- 공군 여중사 아빠가 세상 떠난 딸 얼굴·이름 공개한 이유
- 퇴짜 맞았던 '오징어 게임' 13년 만의 대박… "BTS도 이런 기분이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