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낮엔 비싸고 밤엔 싸게
[경향신문]
시간대별로 전기요금을 다르게 책정하는 ‘시간별 요금제’가 서울 일부 지역에 도입된다. 이달 서대문구 3000가구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양천구 2000가구에도 시간별 요금제가 실시된다.
서울시는 전력 소비가 많은 낮 시간대는 상대적으로 비싼 요금을 책정하는 대신 전력 사용이 적은 밤과 아침 등에는 비교적 저렴하게 요금을 매기는 시간별 요금제를 시범 도입한다고 29일 밝혔다. 소비자는 생활패턴에 맞춰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전기제품을 사용하면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다.
가정용 전기요금은 현재 시간대와 관계없이 전력 사용량이 많아지면 비싸지는 누진요금제 방식이다. 하지만 시간별 요금제가 적용될 경우 평일 오전 출근해 저녁에 퇴근하는 직장인은 밤에 세탁기·청소기를 돌리면 누진요금제를 적용받을 때보다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서울시는 서대문구 서울형 에너지 혁신지구 내 남가좌 래미안, 홍제원 현대, 홍제 센트럴 아이파크 아파트 3000가구를 대상으로 2023년 9월까지 시범적으로 시간별 요금제를 실시한다. 서울시는 이들 가구의 전기·난방·가스 검침기에 ‘스마트미터기’(원격검침기)를 무료로 설치했다. 전기사용량과 전기요금 정보를 연동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도 만들었다. 주민들은 이를 통해 전기요금을 분석하고 저렴한 시간대를 선택해 이용할 수 있다. 시간별 요금제에 참여하는 가구는 시범사업 기간 동안 매달 2000원의 전기요금 할인도 받는다.
서울시는 내년 중 양천구 2000가구에 추가적으로 시간별 요금제를 도입하고,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점차 타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흥일 기자 hi-kim@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송중기, 아빠 된다…“혼인신고 하고 오는 길”
- 이재명, 3차 검찰 출석한다···“대선 패자로 오라니 가겠다”
- 설현, 솔직한 부기 관리법 “공복 아메리카노 원샷→화장실행”
- 한동훈 처조카 논문에 연세대 외숙모 의대 교수 이름
- 서울 두발 단속·일제 소지품 검사 부활하나
- ‘후원금 6억’ 받고 잠적…‘경태아부지’ 일당 징역형
- ‘신해철 사망사고’ 의사, 또 의료사고로 환자 숨져 실형
- 이런 실수…‘고향사랑기부금’ 낸 손흥민, 세액공제 못 받나
- 커터칼로 택시 44대 뒷좌석 ‘쓱’···왜 그랬나 물으니
- 안철수 손 맞잡은 이준석 “정당의 민주적 운영”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