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새 총리 기시다] 임기말 文정부 기간 큰 변화 없을 듯.. 北비핵화 목소리 낼 수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후임을 일본 집권당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기시다 후미오(64) 전 정조회장이 선출됐다.
박근혜 정부 당시 한일 위안부 합의 체결을 주도했던 인물이 총리가 되면서 한일관계나 한반도 정세 및 대북 관계에도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기시다 전 회장은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 내각에서 외무상을 역임하며 2015년 12월 28일 한일 위안부 합의체결을 이끌고 직접 서명까지 인물로 한국에 잘 알려져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새 내각과 미래지향적 협력"
인권·핵문제 강조땐 한반도 영향
일본 기업 자산매각 반발할 수도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후임을 일본 집권당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기시다 후미오(64) 전 정조회장이 선출됐다. 박근혜 정부 당시 한일 위안부 합의 체결을 주도했던 인물이 총리가 되면서 한일관계나 한반도 정세 및 대북 관계에도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일단 문재인 정부의 임기가 많이 남지 않은 만큼 큰 변화가 없을 가능성에 무게를 실으면서도, 북한의 비핵화에 목소리를 낼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일본 자민당은 29일 도쿄에서 실시한 총재 선거 결선투표에서 기시다 전 회장이 총 257표를 기록해 제27대 자민당 총재로 당선됐다고 밝혔다. 당초 선거 레이스 초반 우위가 점쳐졌던 고노 개혁상은 막판 뒷심 발휘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170표를 받은 데 그쳤다. 기시다 전 회장은 1차 투표에서도 의원 표 146표, 당원·당우 표 110표로 총 256표를 얻어 총 255표(의원표 86표, 당원·당우표 169표 등)를 기록한 고노 개혁상을 1표 차로 제치고 1위에 올랐다.
기시다 전 회장은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 내각에서 외무상을 역임하며 2015년 12월 28일 한일 위안부 합의체결을 이끌고 직접 서명까지 인물로 한국에 잘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위안부 및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와 관련해서도 "한국이 국제법과 국제 합의를 준수해야 한다"며 "한·일 관계 개선의 공은 한국에 있다"고 말해왔다. 큰 틀에서는 아베 내각의 외교 노선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
한국 정부는 일단 청와대 핵심 관계자가 "우리 정부는 새로 출범하게 될 일본 내각과 한일 간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을 위해 계속해서 협력해 나가고자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문재인 정부의 임기가 길게 남지 않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당장 큰 변화는 없다는데 무게를 싣고 있다. 신범철 경제사회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은 "문재인 정부가 바뀌지 않고 있고 집권 말기를 향해 가는 상황에서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한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서도, 문재인 정부가 이행을 안 했다가 이후 존중한다는 입장을 새로 내놓은 적이 있기 때문에 큰 충돌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기시다 전 회장이 인권문제를 강조하고 핵 문제에도 관심이 많다는 점을 들어 일본의 대미 외교 과정에서 한반도 정세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박원곤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교수는 "기시다 내각의 대북 관계나 한국과의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나와 있는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면서도 "기시다 총리가 경제 안전 보장, 인권 문제 강조, 핵 문제 등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인권 문제를 강조한다면, 북한을 향해서도 인권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크다"며 "핵 문제 또한 보다 적극적으로 북한 비핵화에 목소리를 낼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박 교수는 "한일관계 측면으로만 놓고 본다면 2015년 위안부 합의가 그에게는 아픈 경험으로 남아 있을 것"이라며 "위안부 합의가 굉장히 어렵게 이뤄진 것은 다 아는 사실인데, 현 정부 들어 무력화됐던 것이라 한국 정부에 대해 의구심을 가질 확률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또 "문 대통령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아 표면적으로 적극성을 띠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어느 수준으로 입장을 표출할지 예단하기는 어렵다"면서도 "미쓰비시 중공업 등 일본 기업을 상대로 자산 매각 등 현금화를 시작한다면 강력히 반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임재섭기자 yjs@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고차 피해자 돕던 유튜버, 영종도서 피 흘린채 발견…커지는 의혹
- "남편은 밖에서 기다리세요"…불임 치료사, 알고보니 본인이 환자 임신시켰다
- "10분만에 콜라 1.5ℓ 마시고 사망"…터질듯한 장기, 의사도 깜짝 놀랐다
- 흉기피습 인적 끊긴 속초 영랑호…봉변 당한 피해자 "힘줄·신경 다 잘렸다"
- "XX 넣어도 돼요?"…선생님에 성희롱 메시지 보낸 초등 6학년
- 구속돼도 `공수처 무시` 尹, 檢 조기송부론도… 헌재 출석은 유력
- 최상목, 민생사업 40% 1분기 집행 "이제 시간과의 싸움"
- 삼성동 엔씨 사옥 누구 손에?… SI 앞세운 운용사 vs `현금부자`
- [기획] 美최우선주의 `트럼프 폭풍`분다… 국제 안보·통상질서 급변
- 30대도 `제2의 인생`… 5대 은행 희망퇴직 2000명 `훌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