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모평 국어 쉽고 영어·수학 어려웠다

안병수 2021. 9. 29. 19: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1일 치러진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에서 국어가 전년도 수능보다 쉽게 출제된 반면 수학과 영어는 비교적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9월 모평 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표에 따르면 국어 만점자 6423명(1.61%)은 127점의 표준점수를 얻었다.

문제가 평이하게 출제돼 표준점수 최고점이 지난 6월 모의평가(146점), 전년도 수능(144점)에 비해 10점 이상 크게 떨어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 127점 기록
2020년도 수능 144점보다 17점 하락
수학 최고점은 145점.. 8점 상승
절대평가 영어 1등급 비율 최저치
결시율 30% '백신 허수 지원' 추정
50일도 안 남은 수능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50일 앞둔 29일 대전 서구 괴정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학생들이 공부를 하고 있다. 대전=뉴스1
지난 1일 치러진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에서 국어가 전년도 수능보다 쉽게 출제된 반면 수학과 영어는 비교적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과학 탐구영역에선 과목별 난도가 불규칙해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극명했다. 입시업계에선 수능 전초전에서 고르지 못한 난이도 탓에 수험생들이 막바지 학습 전략을 세우는 데 혼란을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29일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9월 모평 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표에 따르면 국어 만점자 6423명(1.61%)은 127점의 표준점수를 얻었다. 문제가 평이하게 출제돼 표준점수 최고점이 지난 6월 모의평가(146점), 전년도 수능(144점)에 비해 10점 이상 크게 떨어졌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여주는 점수로, 시험이 어려울수록 올라간다.

수학은 다소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모평에서 만점자는 1211명(0.31%)으로 표준점수 최고점은 145점이다. 전년도 수능에서 수학 가형과 나형은 최고점이 모두 137점이었다.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수학은 문·이과 구분 없이 공통·선택과목 구조로 출제되는데 30문제 중 22문제 비중의 공통문제가 까다로웠다는 분석이다.

국어와 수학의 선택과목별 응시자 비율을 살펴보면 특정 과목 쏠림 현상이 이어졌다. 국어는 ‘화법과작문’이 70.1%, 언어와 매체 29.9%로 나타났다. 수학은 인문·사회계열 진학 희망 학생들이 택하는 ‘확률과 통계’가 52.8%로 가장 많고, ‘미적분’ 39.3%, ‘기하’ 7.9% 순으로 집계됐다.

절대평가인 영어는 1등급(90점 이상)을 받은 학생이 1만9546명(4.87%)으로 영어 절대평가가 시작된 2018학년도 수능 이후 1등급 비율이 가장 적었다. 전년도 수능에서 영어는 1등급이 5만3053명(12.66%)으로 전체 응시자 10명 중 1명이 최고등급을 받았을 정도로 쉬웠다. 이를 감안해 지난 6월 모평은 2만1996명(5.51%)으로 상당히 어려워졌는데 9월 모의평가는 난도가 더 올라간 것이다. EBS 교재·강의와 수능 연계율이 올해 50%로 낮아지면서 영어는 간접연계로 전환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절대평가인 영어가 어렵게 출제되면 수시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수험생이 늘어날 가능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지난 22일 서울 마포구 한 학원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수험생들이 자습을 하고 있다. 뉴스1
사회·과학 탐구 영역에선 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여전했다. 사회탐구는 동아시아사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71점으로 가장 어렵게 출제됐고, 생활과윤리가 65점으로 가장 쉽게 출제됐다. 표준점수 최고점 차이는 6점이다. 과학탐구에서는 생명과학Ⅰ과 화학Ⅱ가 71점으로 가장 높고, 화학Ⅰ이 67점으로 가장 낮아 4점 차이가 발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과목 간 난도가 매우 불규칙해 수능을 예상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수험생들은 과목 간 고르게 공부 시간을 배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평가원에 따르면 수능 9월 모의평가의 전체 응시자는 40만1705명으로 재학생이 32만4738명(80.8%), 졸업생(N수생) 및 검정고시 합격자는 7만6967명(19.2%)이다. 당초 이번 모평에 지원한 졸업생은 평년 대비 3만명가량 많은 10만9615명에 달했으나 결시율이 29.8%로 지난해(15.0%)보다 2배 증가했다. 응시를 포기한 3만2711명 중 상당수는 코로나19 백신 우선 접종을 목적으로 원서만 낸 허수 지원자로 추정된다.

안병수 기자 rap@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