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음속 5배' 가공할 위력.. 현 요격체계 무력화 위기감
北 "암풀화된 연료 안전성 확증"
주요 선진국들 이미 실전배치도
주한·주일미군 기지 타격 사정권
노규덕 , 中한반도대표와 긴급 협의
軍 "개발 초기.. 충분히 방어 가능"
조선중앙통신은 29일 “국방과학원이 28일 오전 자강도 룡림군 도양리에서 새로 개발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8형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통신은 “첫 시험발사”라며 “국방과학자들은 능동 구간에서 미사일의 비행조종성과 안전성을 확증하고 분리된 극초음속 활공비행전투부의 유도 기동성과 활공비행 특성을 비롯한 기술적 지표들을 확증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처음으로 도입한 암풀(앰풀·ampoule)화된 미사일 연료 계통과 발동기의 안정성을 확증했다”며 “시험 결과 목적했던 모든 기술적 지표들이 설계상 요구에 만족됐다”고 부연했다.
북한이 시험발사했다고 주장하는 극초음속 미사일은 미사일 방어망을 무력화할 수 있는 무기로 평가된다. 음속의 5배가 넘는 속도로 표적을 타격할 수 있어 주요 선진국들이 이미 실전배치했거나 개발 중이다. 한·미 연합군의 미사일방어체계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청와대는 북한이 대화 재개 의지를 보이는 담화를 발표하면서도 미사일을 발사한 것과 관련해 북한의 의도를 분석 중이라며 말을 아꼈다.
청와대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한 자리에서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등에 대해 한·미 공조하에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우선”이라면서 “그것이 끝나야 어떤 입장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박 수석은 “북한의 행동에는 늘 중의적 의미들이 있다”며 “북한이 하는 것은 대미, 대남 메시지가 긴밀하게 포함이 되어 있다. 그렇게 중의적으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이미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를 공언한 바 있다.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지난 1월 8차 노동당 대회 사업총화 보고 당시 “가까운 기간 내에 극초음속 활공 비행 전투부를 개발 도입할 데 대한 과업이 상정됐다”고 밝혔다. 다만 김 위원장은 시험발사에는 불참하고, 박정천 노동당 비서와 국방과학 부문 지도 간부들이 참관했다. 북한은 올해 미사일을 총 6차례 발사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김 위원장은 전부 불참했다. 신무기들이 시험·개발 단계인 점을 고려해 김 위원장은 모습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이날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를 공개하면서도 비행거리 및 시간 등 구체적인 정보를 밝히지 않은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북한이 관련 기술은 확보했지만, 실전배치에 앞서 성능 및 신뢰도 향상 작업을 거칠 가능성이 높다. 관련 기술 개발과 검증을 위해서 극초음속 미사일의 추가 시험발사가 필수다. 이에 따라 북한은 이번 시험발사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토대로 성능개량을 진행한 뒤, 추가 시험발사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전문연구위원은 이번 극초음속 미사일에 대해 “화성-12형과 형태가 유사한 중장거리급 미사일로 보인다”며 “앞으로 사거리 연장 시험발사를 추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선영, 박수찬, 이도형 기자, 워싱턴=박영준 특파원 00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