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권 제주 정무부지사, "연간 2만톤 발생 해양쓰레기 수거·처리 체계 개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영권 제주도 정무부지사가 29일 해양쓰레기 수거·처리 체계 개선을 주문했다.
고 정무부지사는 이날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안덕면 해양쓰레기 중간집하장을 찾아 현장을 점검하면서 "제주의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전국 9개 연안 광역시도 중 상위권으로, 지속적인 환경문제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뉴스1) 강승남 기자 = 고영권 제주도 정무부지사가 29일 해양쓰레기 수거·처리 체계 개선을 주문했다.
고 정무부지사는 이날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안덕면 해양쓰레기 중간집하장을 찾아 현장을 점검하면서 "제주의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전국 9개 연안 광역시도 중 상위권으로, 지속적인 환경문제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중국 등 외부요인으로 발생하는 해양쓰레기는 연간 2만여톤이 제주 해안으로 밀려오고 있다.
제주의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최근 3년(2018~2020년) 연 평균 1만3977톤.
전남과 경남에 이어 9개 연안 광역시도 중 세번째로 많다.
제주도는 전국 최초로 해양쓰레기와 관련해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제정(2017년 6월)하고 청정 바다지킴이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도는 내년 정부예산안에 해양쓰레기 관련 5개 사업의 국비예산을 올해보다 87% 증가한 35억4300만원을 반영시켰다.
고영권 정무부지사는 "제주도는 선도적으로 해양쓰레기 처리문제에 대응해 제주의 청정환경을 지키는데 많은 성과를 거둬 왔다"며 "지속적인 해양쓰레기 수거·처리 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청정 제주바다를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수거처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바다환경지킴이 휴식장소 마련, 연중 수거체계 유지에 필요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유관기관과 협의도 적극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ksn@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 이승기♥이다인, 공개연애 1년만에 결혼…"혼전임신은 아냐"
- 강민경 '사기혐의 父' 절연…과거엔 "아빠는 사장, 명품 선물"
- 조민, 연예인 단골 캔들공방서 포착…"뭘 해도 '좋아요'" 팬덤
- 가족 보는 앞에서…21m 절벽서 영상 찍다 추락사한 20대男
- "기내서 사망했다고 뉴스 나올 뻔"…60대 살린 대한항공 승무원들 '미담'
- 출산 앞둔 '임신男'…성전환 커플 '만삭 사진'
- 필라테스 女회원 거꾸리때 긴 머리 자른 강사
- 송중기♥케이티, 2세 예상 비주얼 공개 '깜찍'
- 이시영 '아들 업고 한라산' 이어 소백산 등반
- 권민아 "연진이 같은 것들…XX, 사기 그만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