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조할인'처럼..전기요금 차등화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전력 소비가 적은 밤 시간대에 쓰는 전력에 저렴한 요금을 부과하는 '시간별 요금제'를 시범 도입한다.
서울시는 시간대별로 전기요금을 차등 책정하는 시간별 요금제를 다음달 시범 도입한다고 29일 발표했다.
시간별 요금제는 시민들의 전력 소비량이 많은 낮 시간대는 상대적으로 비싼 요금을, 전력 사용량이 적은 밤과 아침 등에는 비교적 저렴한 요금을 책정하는 제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력 덜 쓰는 시간대에 할인
서울시가 전력 소비가 적은 밤 시간대에 쓰는 전력에 저렴한 요금을 부과하는 ‘시간별 요금제’를 시범 도입한다. 영화관에서 관객이 적은 시간대 관람권 가격을 깎아주는 ‘조조할인’과 비슷하다.
서울시는 시간대별로 전기요금을 차등 책정하는 시간별 요금제를 다음달 시범 도입한다고 29일 발표했다. 현재 가정용 전기요금은 사용 시간과 무관하게 전체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는 누진 요금제 방식이다. 시간별 요금제는 시민들의 전력 소비량이 많은 낮 시간대는 상대적으로 비싼 요금을, 전력 사용량이 적은 밤과 아침 등에는 비교적 저렴한 요금을 책정하는 제도다. 시범 사업은 서대문구 서울형 에너지 혁신지구 내 남가좌 래미안, 홍제원 현대, 홍제 센트럴 아파트 등 3000가구를 대상으로 2023년 9월까지 진행된다.
시는 주민들이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각 가정의 전기·난방·가스 검침기에 스마트미터기(원격검침기)를 무료로 설치해 주기로 했다. 전기 사용량과 전기요금 정보를 연동하는 모바일 앱도 마련했다. 스마트미터기는 전력 사용량을 5분 단위로 수집해 전력 공급자와 앱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김연지 서울시 환경시민협력과장은 “전기 이용이 낮에 몰리지 않으면 발전소를 추가 가동하지 않아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다”고 했다. 시는 내년 양천구 2000가구에 시간별 요금제를 추가 도입한 뒤 다른 곳으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s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 식사 후 10분씩 걸었더니…'놀라운 변화' [건강!톡]
- "노후 대비하자"… 라이프사이클펀드 10兆 돌파
- "하루 1만5000개 넘게 팔려"…'과자의 제왕' 새우깡 제쳤다
- "강남 사모님도 당했다"…200억 뜯어낸 역삼동 교회 집사
- "소형이라도 잡자"…3억원대 아파트, 1년 뒤 얼마나 올랐을까
- '♥이영돈과 재결합' 황정음, 구절판→3단 트레이 디저트…화려한 파티상 [TEN★]
- '외식사업가♥' 이시영, 명품 P사 선물 언박싱…296만원 신상백에 "넘 귀엽" 만족 [TEN★]
- 민지영, 갑상선암 수술 후…"전신마취 후유증 괴롭고 힘들어"
- 배우 고은아, 모발이식 고백 "7시간 앉아서 3000모 심었다"
- 자우림 김윤아 "아들 용돈 안 주고 집안일 시킨다고? 오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