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의힘''창고에 가둬야''남극 유배'..거칠어진 이재명, 무슨 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자신을 둘러싼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을 반박하는 과정에서 국민의힘을 향해 강도 높은 표현을 동원해 비판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어 주목된다.
'국민의힘 게이트'로의 국면 전환을 노리는 한편 자신의 무고함과 선명성을 강조함으로써 본선을 대비한 전략적 행보라는 평가가 나오는가 하면 상황 악화에 따른 조급함을 반증하는 언행으로, '막말 리스크'를 키울 것이란 지적이 동시에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억울함' 강조하는 본선용 선명성 행보"..'조급함 발로''막말 리스크 오히려 부담' 관측도
(서울=뉴스1) 정재민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자신을 둘러싼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을 반박하는 과정에서 국민의힘을 향해 강도 높은 표현을 동원해 비판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어 주목된다.
'국민의힘 게이트'로의 국면 전환을 노리는 한편 자신의 무고함과 선명성을 강조함으로써 본선을 대비한 전략적 행보라는 평가가 나오는가 하면 상황 악화에 따른 조급함을 반증하는 언행으로, '막말 리스크'를 키울 것이란 지적이 동시에 나온다.
이 후보는 29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개발이익 환수 법제화 긴급토론회'에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를 향해 "'50억 게임'에 참여한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도 다 숨기고 '몸통은 이재명'이라고 했다. 국민을 속인 죄를 물어 봉고파직(부정을 저지른 관리를 파면하고 창고에 가둬 잠금)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에 대해선 "곽상도 의원의 아들이 50억원을 받은 사실을 알면서도 '이재명이 부패의 근원'이라며 거짓말로 국민을 속였다"며 "봉고파직에 더해 남극 지점에 '위리안치'(유배된 죄인이 달아나지 못하도록 가시로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가두는 형벌)시키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만물창조설'을 믿는 국민의힘 지도부와 국민의힘 후보들도 정신 차리시길 바란다. 이건 부탁이 아닌 요구"라고 경고했다.
이 후보는 전날 같은 주제의 토론회에서도 국민의힘을 '토건세력'으로 규정하며 '국민의짐', '도둑의힘'으로 지칭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이 과정에서 웃으며 "국민의짐, 아이고 죄송합니다. 도둑의힘 아, 이것도 아닙니다"라고 농담조로 언급했지만, 야권을 향한 적개심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
이에 대해 이 후보 측은 이 후보가 대장동 사업을 성남시장 시절 최대 치적이라 여긴 만큼 억울함이 크다는 점을 나타내려는 차원에서 수위가 높아졌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후보 측근 의원은 "지금까지 아무런 근거와 논리 없이 '화천대유는 누구 것이냐'며 이 후보를 무차별 공격했다"며 "전형적인 공작정치는 안 된다는 게 이 후보의 뜻"이라고 전했다.
다만 내부에서도 감정을 좀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억울함을 표현하는 것으로 읽힐 수도 있지만 반대로 상황이 부정적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식한 조급함으로 보일 수도 있어서다.
또한 원색적인 표현을 동원한 대응이 자칫 이 후보의 약점 중 하나로 꼽히는 '안정감이 떨어지는 불안한 후보' 이미지를 더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 후보의 최근 고강도 발언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내놓았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본선을 대비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며 "스윙보터인 중도층에게 확실히 '자신과는 관계없다'는 것을 각인시키려는 의도로 읽힌다"고 분석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정치평론가는 "본인이 억울한 점이 있다 하더라도 너무 나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며 "국민의힘을 비판하면서 얻는 지지층 결집 효과보다 '막말' 논란으로 인한 이미지 훼손이 더 커보인다. 평소 행실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는 비판을 피하기도 어려워 보인다"고 했다.
또 다른 정치평론가는 "결재권자로서의 책임에 대해 언급할 필요가 있다"며 "강도 높은 발언은 수사 결과가 나온 이후 해도 늦지 않다"고 조언했다.
ddakbo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문상호, 계엄 전 박선원 의원에 작별인사…"도와줘 고맙다, 충성" 왜?
- "여기 불륜 맛집"…제주 유명 고깃집 논란에 성시경 '불똥', 무슨일?
- 서부지법 난동범에 "그냥 국선 쓰길, 해줄 게 없더라"…변호사 조언
- 전한길 "스스로 희생한 尹 사랑할 수밖에…곧 지지율 60% 넘고 직무복귀할 것"
- '공개 열애' 이정재♥임세령, 이번엔 파리 로맨틱 데이트 현장 포착
- '강주은 성대모사' 유튜버 쓰복만 "선관위 투명해야"…전한길 지지 논란
- 조세호, 9세 연하 아내와 허니문 인증샷…모델 같은 분위기
- '49㎏ 감량' 최준희, 과감 시스루 한복…매혹적 분위기 [N샷]
- '야구 여신' 박지영 아나, 미국서 파격 비키니…글래머 몸매 [N샷]
- "손 잘려나갈듯 아파"…이상미, 15년 미뤄온 사구체종양 수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