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더 이상 SaaS 도입을 미룰 수 없다

임중권 2021. 9. 29. 1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스마트워크 도입과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확산으로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서비스가 널리 도입되고 있다. SaaS 서비스인 클라우다이크도 코로나19 사태로 급격하게 성장했다. 클라우다이크를 통해 재택근무를 하는 사용자들이 파일을 공유하고, 동료·파트너들과 폴더를 동기화해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이미 미국에서는 이러한 기업간거래(B2B) SaaS가 대세며, 많은 유니콘(1조원 이상 가치를 보유한 회사) SaaS 회사가 출현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어도비와 같은 기존 패키지 소프트웨어(SW) 기업도 SaaS로 사업 모델을 전환하고 있을 정도다.

한국은 B2B SaaS의 불모지나 같았다. 대기업 중심으로 SaaS를 구독하는 것보다 자체 구축 사업을 주로 해 왔기 때문이다. 정부 또한 필요한 SW를 용역 형태로 구축하려 했으며, SaaS 도입에는 소극적이었다. 실제로 2021년 공공부문 용역구축 비율이 89%라는 집계가 있을 정도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는 전문 SaaS 회사가 성장할 수 있는 터전이 마련되지 못했다.

이러한 구축형 사업 또는 시스템통합(SI)에 집중된 한국 시장은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구축형 프로젝트는 하도급 기반으로 하며, SW 회사는 자신들의 독자 기술을 공급하기보다 이른바 인건비 장사를 한다. 즉 저가에 개발자를 판매하는 구조다. 이렇게 개발된 SW는 재사용이나 기업의 자산으로 남기 어렵다. 결국 SW 회사는 단순 용역 회사로 전락하고, 자신만의 기술 자산을 보유하기 어렵게 된다.

SW는 개발 이후에도 오랜 기간 오류 수정, 새로운 사업 로직 추가, 사용성 개선 등 안정화 기간이 필요하다. 매년 대기업과 정부에서 구축되는 수많은 신규 SW가 안정되지 않아 사용자 불만이 높다. 또 유지·보수가 잘되지 않아 구축한 SW를 얼마 사용하지 못하고, 재개발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주변에 '고도화라는 이름으로 매년 구축 프로젝트가 생기는 것도 같은 이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안이 바로 SaaS다. 대기업과 정부에서 전문 SaaS를 구매하는 것이다. 이는 기업과 정부에도 이득이다. 전문 SaaS를 사용해서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고, 막대한 구축비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발자 연봉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이제는 구축 프로젝트에 투입할 인력을 찾기도 쉽지 않다. 더 이상 SaaS 도입을 미룰 수 없다.

특히 정부는 공공기관에 SaaS가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는 지원책을 제도화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공공기관 납품에 요구되는 SaaS의 보안 인증을 유연하게 하는 것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보안 인증 방식도 클라우드 시대에 맞춰서 변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예전 구축 사업에 적용하던 보안 인증 체계가 아니라 클라우드 특성을 고려한 보안 인증이 필요하다.

자원을 공유하는 클라우드 방식은 자원을 격리하는 과거 구축 프로젝트와는 사상 자체가 다를 수밖에 없다. 사용 기관별로 데이터베이스(DB)를 분리하고 별도 저장소를 구축해야 한다는 사상은 클라우드가 지향하는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마치 아파트는 안 되고 반드시 단독주택을 지으라는 말과 같다. 클라우드 세상에 걸맞게 정부의 보안 인증 체계도 변해야 한다.

과거 우리는 공인인증서로 대표되는 불편함을 참고 살았다. 여기에는 사용자가 아무리 불편하고, 사업자가 아무리 비용을 많이 들여도 '사고만 나지 않으면 된다'라는 마인드가 깔려 있었다. 규정을 만드는 사람이 전체 생태계를 생각하기보다는 '사고가 나면 내가 비난받는다'는 부담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해 본다. 그러나 사용자 편의성과 사업자의 수익성을 모두 생각해야 전체 생태계를 키울 수 있다. 사용자 편의성에 중점을 두고 사업자 재량에 맡기는 형태로 보안 체계도 진화해야 할 때다.

이선웅 클라우다이크 대표 sunung@cloudike.io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