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4차유행 지속에 정점 도달 늦어져..환자 규모 예측도 어려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방역당국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장기화하면서 정점에 도달하는 시점이 늦춰지고 있으며, 따라서 당분간 환자 증가세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29일 정례 브리핑에서 "(당초 예측할 때는) 9월 말께 환자 발생이 정점에 이르고 감소할 여지도 있다고 전망했지만, 정점 기간이 뒤로 늦춰진 것으로 보인다"면서 "환자 발생이 얼마나 더 늘거나 줄어들지는 불분명하지만, 당분간 확산 추세가 계속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형병원 감염에 의료 대응여력 감소 우려..외국인 감염도 다양화"
(서울=연합뉴스) 김서영 기자 = 방역당국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장기화하면서 정점에 도달하는 시점이 늦춰지고 있으며, 따라서 당분간 환자 증가세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29일 정례 브리핑에서 "(당초 예측할 때는) 9월 말께 환자 발생이 정점에 이르고 감소할 여지도 있다고 전망했지만, 정점 기간이 뒤로 늦춰진 것으로 보인다"면서 "환자 발생이 얼마나 더 늘거나 줄어들지는 불분명하지만, 당분간 확산 추세가 계속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최근 수도권 확산세가 비수도권으로 번지면서 전국 감염 재생산지수는 3주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최근 1주간(9.19∼25) 전국 감염 재생산지수는 직전 주 1.03보다 높아진 1.04로 집계됐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확진자 한 명이 주변의 다른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이 지수가 1 미만이면 '유행 억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을 뜻한다.
최근 4주간 감염 재생산지수는 주간 단위로 0.98→1.01→1.03→1.04를 기록하면서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직전 주와 같은 1.08 수준을 유지했으나 비수도권은 같은 기간 0.90에서 1.02로 높아졌다.
일평균 확진자는 2천28.7명으로, 전주(1천798.5명) 대비 230.2명이나 증가했다. 이 중 수도권은 1천384.1명에서 1천542.6명으로 158.5명(11.5%) 늘었고, 비수도권은 414.4명에서 486.1명으로 71.7명(17.3%)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확진자 발생률은 20대가 6.6명으로 전 연령대에서 유일하게 6명을 넘었고, 30대가 5.4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20대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층의 발생률이 증가세를 보였다.
감염 경로로는 가족·친구·동료를 통한 '선행 확진자 접촉' 비율이 50.4%로, 신규 확진자의 절반을 넘어섰다. 이 비율은 최근 4주간 44.0%→45.9%→46.1%→50.4%로 올랐다.
지난 5월부터 지난달 21일까지 발생한 신규 확진자 11만3천718명 중 89.4%(10만1천633명)는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위중증으로 악화하거나 사망한 환자 2천510명 가운데 86.2%(2천164명)가 백신을 맞지 않았고, 11.6%(291명)는 1차 접종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2.2%(55명)는 접종을 모두 마친 후 확진된 돌파감염 추정 사례로 파악됐다.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당국의 방역망을 벗어나거나 감염경로가 파악되지 않는 확진자 비율도 늘어났다.
신규 확진자 중 자가격리 상태에서 확진된 비율을 나타내는 '방역망 내 관리 분율'은 9월 첫째 주 33.7%에서 넷째 주 28.2%로 떨어진 반면 언제, 어디서 감염됐는지 알 수 없는 '감염경로 불명' 비율은 같은 기간 34.7%에서 38.9%로 올라 거의 40%에 육박했다.
한편 방대본은 "수도권 소재 대형병원 집단감염으로 의료대응 여력이 감소하고 있다"며 "더욱이 추석 이후 가족·지인 간 감염에 의한 학교 내 전파, 연휴 이후 외국인 감염 확산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방대본은 대형병원의 경우 확진자가 발생하면 접촉 의료진이 격리되는 것은 물론 병동이 폐쇄되면서 의료대응 체계에 대한 직접적인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환자 보호자나 간병인 등은 백신 접종을 서두르고, 병원은 자체적인 감염 관리를 강화해달라고 당부했다.
방대본은 이와 별개로 국내 거주 중인 외국인 확진자의 비중이 꾸준히 15% 안팎을 유지하고 있고, 또 집단감염의 형태도 일용직 근로자·유학생, 공단·유흥주점 등 다양화하고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sykim@yna.co.kr
- ☞ "니가 죽였잖아"…제주 '중학생 살해' 진범은 누구?
- ☞ 일본차에 떡하니 '필승, 일본 731부대'…호기심에 했다가 체포
- ☞ 영종도서 피 흘리는 중고차 유튜버 발견…뇌수술에도 중태
- ☞ 발코니서 성관계하다 추락…웃통 벗고 달려나온 남친
- ☞ 걸리면 4명 중 3명이 죽을 수도…우리나라는 안전지대일까
- ☞ '고액 퇴직금' 화천대유 평균 월급도 대기업 2배이상…얼마길래
- ☞ "125명분이 25명에 투여"…화이자 백신접종 '황당 사고'
- ☞ 이준석, '봉고파직' 이재명에 "추악한 가면 확 찢어놓겠다"
- ☞ "결제가 안돼요" 배달기사…금은방서 날아온 460만원 청구서
- ☞ "백악관 머물던 '은둔의 영부인' 멜라니아 별명은 라푼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믿기지 않게 감사한 판결"…대구판 돌려차기 피해자 인터뷰 | 연합뉴스
- '페라리로 167㎞/h'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 벌금 30만원 | 연합뉴스
- 우즈, 새벽 4시에 체육관에서 동료 선수들한테 문자 | 연합뉴스
- 의왕 엘리베이터서 이웃 여성 강간상해 20대 징역 8년 | 연합뉴스
- '핵주먹' 타이슨에 도발 후 폭행당한 美 남성, 5억8천만원 요구 | 연합뉴스
- '독수리 충돌' 1천100억원짜리 F-35A, 도입 2년만에 결국 퇴역 | 연합뉴스
- LG 오지환, '전설의 시계' 반납…"새 시계 받았어요"(종합) | 연합뉴스
- 우간다 70세 여성 쌍둥이 출산…"기적이 일어났다" | 연합뉴스
- 함세웅, 文·이낙연에 "방울 달린 남자들이 추미애보다 못해" | 연합뉴스
- 식당 주인 사진 올리고 "현피 뜰 사람" 유튜브 채널 만든 20대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