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대학포럼]<38>대학 위기와 경직된 정책

김명희 2021. 9. 29. 15:1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여기저기에서 대학 위기를 말한다.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숙제인 저출산 때문이다. 모든 고등학교 졸업생이 대학을 가더라도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대학이 속출하고 있다. 이미 문을 닫은 대학도 여럿 된다. 특히 지방 상권의 중심 역할을 하던 대학이 사라진 자리에는 지방 소멸의 파도 또한 거세게 몰아치고 있다. 과연 대학의 위기는 이것뿐일까.

진정한 대학 위기는 사회의 외면이 아닐까 생각한다. 최근 창업해서 평생을 일군 기업을 매각한 기업인이 매각 자금 일부로 우리나라에 새로운 대학을 세운다고 한다. 이 대학은 지난 2014년 미국에서 문을 연 '미네르바 대학'을 모델로 한다. 미네르바 대학은 캠퍼스가 없다. 모든 수업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학생들은 대학 재학 기간에 전 세계 여러 도시를 머물면서 다양한 문화와 사회를 체험한다. 매년 200명의 학생만 뽑고, 소수 학생들은 문제해결형 토론식 수업을 진행한다. 일방적인 지식 전달보다는 소통과 협동, 창의력과 비판력을 중점 교육한다는 철학이 있다. 미네르바 대학 모델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기존 대학과는 다른, 완전히 새로운 대학 모델을 제시하겠다는 포부이다.

물론 모든 대학이 미네르바 대학과 같아질 필요는 없다.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은 정말 다양하다. 이들 인재를 길러내는 대학의 모습도 각양각색일 것이다. 새로운 교육과 대학 모델을 만드는 움직임이 주는 반향은 크다. 과연 대학의 역할은 무엇인가. 학문을 추구하는 지성, 사회 부조리를 지적하는 양심, 미래 혁신을 창출하는 거점. 대학에는 실로 다양한 기능이 있다. 대학이라는 기관이 마련되고 발전하며, 대학 역할은 확장돼 왔다. 그럼에도 대학의 변하지 않은 가치는 교육이다.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는 곳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산업 성장과 경제 발전을 위해 달려왔다. 대학은 산업 역군을 양성하며 사회 부름에 충실히 답했다. 최근에는 대학을 졸업한 신입 사원들의 역량에 불만을 토로하는 기업이 많다. 기업이 해야 할 직원 교육을 대학에 떠넘기는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여러 의견이 있겠지만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옛날 교과 과정을 고수하는 대학의 책임이 없는 건 아니다. 그에 대한 반발의 움직임이 미네르바 대학이라 할 것이다.

그러면 모든 대학이 산업에 즉시 투입될 수 있는 맞춤형 인력을 길러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 대학이 길러 내야 할 인재 가운데에는 미래 기술을 이끌 인력도 포함된다. 세상에 존재하는 기술과 산업을 좇는 것이 아니라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미지의 영역을 꿈꾸고 만드는 인력이 필요하다. 이들은 당장 산업 현장 지식 중심 교육보다는 더욱더 탄탄한 기초 역량이 필요하다. 결국 모든 대학이 하나의 인재상을 추구할 수는 없다.

얼마 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들과 이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45세 이하 젊은 과학자 150명이 모인 단체이다. 의외로 지금 벌어지는 사회와 대학 간 수요-공급 불일치의 원인을 대학이나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에서 찾는 젊은 석학이 많았다. 모든 대학을 일률적으로 줄 세우는 정부 탓에 자율성과 다양성을 잃어 간다. 대학이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재정을 마련하는 등 재량권은 극히 부족하다. 이런 환경 속에서 정부의 재정 지원에 목을 맬 수밖에 없는 대학은 더욱더 정부에 예속된다. 모든 대학 교수에게 연구 성과가 중요하다 하고, 양적 지표를 따진다. 논문의 질을 따진다는데 결국 질적 수준을 점수로 만든 정량 지표를 본다. 하나의 잣대로 매겨지는 대학 순위는 더욱더 모든 대학을 틀에서 찍혀 나온 붕어빵처럼 똑같이 만든다. 산업 맞춤형 교육 역시 새로운 교과목을 개설해서 최신 지식을 전수하는 것이 그리 인정받지 못하는 대학 평가제도 탓도 있다.

어쩌면 경직된 정부의 대학 정책 때문에 미네르바 대학과 같은 참신한 대학이 탄생했으니 대학 정책이 획기적으로 바뀌지 않는다면 더욱 많은 실험 대학을 만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정우성 포스텍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정우성 포스텍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wsjung@postech.ac.kr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