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엔 비싸게 밤엔 싸게..서울시, 서대문구 3000가구에 '시간별 전기요금제'
[경향신문]
시간대별로 전기요금을 다르게 책정하는 ‘시간별 요금제’가 서울 일부 지역에 도입된다. 이달 서대문구 3000가구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양천구 2000가구에도 시간별 요금제가 실시된다.
서울시는 전력 소비가 많은 낮 시간대는 상대적으로 비싼 요금을 책정하는 대신 전력 사용이 적은 밤과 아침 등에는 비교적 저렴하게 요금을 매기는 시간별 요금제를 시범 도입한다고 29일 밝혔다. 소비자는 생활패턴에 맞춰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전기제품을 사용하면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다.
가정용 전기요금은 현재 시간대와 관계없이 전력 사용량이 많아지면 비싸지는 누진요금제 방식이다. 하지만 시간별 요금제가 적용될 경우 평일 오전 출근해 저녁에 퇴근하는 직장인은 밤에 세탁기·청소기를 돌리면 누진요금제를 적용받을 때보다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서울시는 서대문구 서울형 에너지 혁신지구 내 남가좌 래미안, 홍제원 현대, 홍제 센트럴 아이파크 아파트 3000가구를 대상으로 2023년 9월까지 시범적으로 시간별 요금제를 실시한다. 서울시는 이들 가구의 전기·난방·가스 검침기에 ‘스마트미터기’(원격검침기)를 무료로 설치했다. 전기사용량과 전기 요금 정보를 연동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도 만들었다. 주민들은 이를 통해 전기 요금을 분석하고 저렴한 시간대를 선택해 이용할 수 있다. 시간별 요금제에 참여하는 가구는 시범사업 기간 동안 매달 2000원 전기요금 할인도 받는다.
서울시는 내년 중 양천구 2000가구에 추가적으로 시간별 요금제를 도입하고,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점차 서울 타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미래형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 중 하나다. 서울은 이 사업 공모로 선정된 규제 특례 지역으로, 기존 전기요금 체제와는 다른 시범 사업이 가능하다.
김연지 서울시 환경시민협력과장은 “이용자 분산으로 발전소를 추가 가동하지 않으면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다”며 “소비자 부담은 줄이고 기후위기에 자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흥일 기자 hi-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상]윤 어게인 집회, 일 ‘재특회’ 같은 난동···양꼬치 골목 찾아 “중국으로 꺼져” 충돌
- 나경원 “대통령에 국회 해산권을···탄핵 시 직무정지도 바꿔야” 극우에 ‘러브콜’
- “잠옷만 입은 채 쫓겨나”···‘미아리텍사스’ 강제 철거에 갈등 격화
- 화장실·탈의실서 400차례 불법 촬영 20대, 징역 5년6개월
- 강남 한복판서 잇단 초등학생 ‘납치 미수’ 신고···“낯선 사람 주의를”
- 훔친 차 타고 달아난 뒤 불지른 50대 긴급체포
- ‘미인도는 위작’ 천경자 딸, 국가배상 소송 2심도 패소
- 트럼프 관세에 ‘명품백’도 발 동동···에르메스 “가격 인상”·루이뷔통 “미국 생산 증가”
- ‘밀양 성폭행 가해자 신상 공개’ 20대 유튜버 ‘징역 3년’
- [속보]법원, 윤석열 두번째 재판도 ‘지하주차장 출입’ 허용···또 ‘전례 없는 특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