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워치'도 '마켓컬리'서 사면 '카드 캐시백' 된다?

임찬영 기자 2021. 9. 29. 14: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상생소비지원금(카드 캐시백) 제도가 다음달 1일부터 시행되는 가운데 시행처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목적에 맞게 사용처를 제한했다는 입장이지만 마켓컬리 등 사용처에선 갤럭시워치 등 고가의 전자제품도 구매할 수 있어 형평성에 어긋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마켓컬리 홈페이지 화면 캡쳐

상생소비지원금(카드 캐시백) 제도가 다음달 1일부터 시행되는 가운데 시행처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목적에 맞게 사용처를 제한했다는 입장이지만 마켓컬리 등 사용처에선 갤럭시워치 등 고가의 전자제품도 구매할 수 있어 형평성에 어긋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국민지원금 지급 때처럼 오픈마켓 등 e커머스 업체를 상생소비지원금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쿠팡·11번가·SSG닷컴 등 주요 e커머스 업체 등이 이번에도 캐시백 대상에서 제외됐다. 하지만 마켓컬리 등 일부 e커머스 업체는 이번에 새롭게 카드 캐시백 사용처에 포함됐다. 온라인 전문몰이라는 이유에서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사용처 기준이 형평성에 어긋날뿐 아니라 제도 취지에도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사용처에 포함된 마켓컬리의 경우 신선식품 새벽배송을 기반으로 성장한 업체인 것은 맞지만 현재 비식품군 상품 비중이 만만치 않아 종합몰의 성격도 지니고 있어 제대로 된 취지를 살릴 수 없다는 목소리다.

실제 마켓컬리는 2016년부터 비식품군으로 영역을 확대한 바 있는데, 초기에는 토스터 등 주방 관련 상품만 판매해오다 최근엔 LG·삼성 등 기업들의 대형 가전제품도 판매하고 있다. 더불어 내년에는 '오픈마켓'으로까지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품고 있다. 내년 상반기까지 위탁판매 형식으로 전환해 비식품군 판매를 효율화한 뒤 하반기부터는 마켓컬리만의 '제한된 오픈마켓'을 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마켓컬리는 최근까지 비식품군 비중을 30%까지 늘렸고 계속해서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이날 기준 마켓컬리가 판매하고 있는 가전제품 수는 504개에 달하며 생활용품·주방용품·리빙·캠핑 등까지 합하면 5000개에 달하는 비식품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하나의 상품군에 특화된 '전문몰'이라고 하기엔 비식품군 비중이 상당한 셈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마켓컬리에서 가전제품을 구매하는 게 소상공인에 어떠한 도움이 되느냐는 비판도 나온다. 카드 캐시백 제도는 신용카드 사용액이 올 2분기 월평균 대비 3% 이상 늘어났을 때 초과 사용분의 10%를 환급해주는 제도다. 예를 들어 2분기 월평균 사용액이 100만원인 사람이 다음달 153만원을 사용하면, 초과 사용분 53만원 중 2분기 월평균 사용액의 3%인 3만원을 제외한 50만원의 10%인 5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 소득 자격만 되면 신청해 받을 수 있었던 국민지원금과 달리 캐시백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상대적으로 까다로운 셈이다.

따라서 캐시백을 받기 위해서는 2분기보다 많은 지출을 해야 하는데, 자연스레 고가의 상품에 눈이 쏠릴 수밖에 없다. 결국 고가의 제품을 살 수 있는 e커머스·백화점·대형마트 등에서의 사용이 제한된 상황에서 마켓컬리에서 판매하고 있는 가전제품이 캐시백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셈이다. 실제 국민지원금 지급 당시에도 편의점에서 갤럭시워치를 구매하는 등 취지에 맞지 않는 지원금 사용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지역경제 활성화란 취지가 무색하게 온라인 전문몰이라는 이유만으로 마켓컬리 등 업체들을 사용처에 포함한 건 이해할 수 없다"며 "수십·수백만원에 달하는 값비싼 고가 전자제품을 사는 것은 사실상 명품을 구매하는 것과 다름 없으므로 제한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호랑이 가까이 보여주려다가…14개월 아들 손가락 잃어'80억원대 피소' 타일러 권 "여자친구 제시카 명예만 다쳐, 억울"마마무 솔라, 볼륨 드러낸 밀착 룩+4000만원대 주얼리…어디 거?배수진 "돌싱 예능 출연 후 쏟아진 악플 고충…아기 욕까지"'스우파' 로잘린, 댄스 입시 레슨비 290만원 '먹튀' 폭로 나왔다
임찬영 기자 chan02@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