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유튜브 등 글로벌 CP 트래픽 78.6%..김상희 국회 부의장 "정당한 망 사용료 부담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넷플릭스·유튜브 등 글로벌 콘텐츠제공사업자(CP)가 국내에서 유발하는 트래픽이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사업자보다 4배 가량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김상희 국회 부의장(더불어민주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일평균 트래픽 자료에 따르면, 트래픽 발생량의 78.6%는 넷플릭스·유튜브 등 글로벌 CP에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유튜브 등 글로벌 콘텐츠제공사업자(CP)가 국내에서 유발하는 트래픽이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사업자보다 4배 가량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김상희 국회 부의장(더불어민주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일평균 트래픽 자료에 따르면, 트래픽 발생량의 78.6%는 넷플릭스·유튜브 등 글로벌 CP에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지난해 73.1%보다 높은 수치다. 반면에 트래픽 발생량 상위 10개 사업자 중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CP 트래픽 비중은 지난해 26.9%에서 올해 21.4%로 줄었다.
국내 CP와 해외 CP의 트래픽 격차가 3배 이상으로 벌어지는 등 국내 트래픽 발생량의 대부분이 글로벌 CP로부터 유발된 것이다.
트래픽 발생량은 2017년 370만 테라바이트(TB)에서 올 연말 894만 테라바이트로 예상돼 2배 이상 폭증할 전망이다. 김 부의장은 이같은 추세라면 내년에는 1000만 테라바이트를 넘어 국내 망 안정성 관리에 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김 부의장은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CP는 연간 수백억원 망 사용료를 이통3사에 지불하며 안정적 망 관리와 망 증설에 협력하고 있다”며 “그러나 정작 폭증하는 트래픽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넷플릭스와 유튜브 등은 망 사용료를 외면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12월 시행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에 따라 글로벌 CP도 네트워크 서비스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해야 하지만, 법적 공방이 일어나는 등 망 이용료에 대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김 부의장은 “국정감사에서 글로벌 CP가 정당한 망 사용료를 부담하는 방안을 모색하며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외 CP 일평균 트래픽 비중 현황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현대차, 전기차 개발 3년 앞당긴다…내년 '신차 6종' 투입
- 文 정부 마지막 국감, '플랫폼', '원전', '대장동' 총공세
- 유료방송 채널개편 확대...홈쇼핑 '반발' vs 유료방송 '효율화'
- 마지막 GPU 퍼즐 조각 맞춘 인텔, 내년 시장 파장 예고
- [단독]공정위, 사무실 규제 개선 착수
- [알뜰폰 1000만시대, 새판을 짜자]〈하〉알뜰폰, 고유 가치 만들어야
- [과학기술이 미래다] <20>박 대통령, 과기연구소 장소 결정
- 일본 100대 내각총리대신에 기시다...4일 취임
- 국민의힘 치열한 4위 경쟁…"당원 30% 투표 변수될까"
- '스마트홈+헬스케어' 뜬다...표준화 선결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