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하나은행도 '전셋값 증액 범위'로 대출한도 줄인다

오상헌 기자, 김상준 기자 2021. 9. 29. 11: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B국민은행이 전세자금대출 한도를 '전세보증금 증액 범위 이내'로 줄인 가운데 하나은행도 다음주부터 같은 방식으로 전세대출 한도 축소 방안을 도입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이르면 다음주부터 전세자금대출 한도를 임대차 계약 갱신 때 전셋값 증액 범위 이내로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세연 기자 = 우리나라 가계와 기업의 빚 증가세가 멈추지 않으면서 올해 2분기 말 기준으로 4000조원을 돌파했다. 특히 20~30대 청년층의 가계부채증가율은 다른 연령층을 크게 웃돌았고 이들의 가계부채 비중도 26.9%에 달했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상황(2021년 9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217.1%(추정치)를 기록했다. 전년 말 대비로는 3.4%포인트(p) 오른 수치다. 민간신용은 자금순환통계상 가계(가계 및 비영리단체)와 기업(비금융법인) 부문의 대출금, 정부융자, 채권 등 부채 잔액을 의미한다. 이러한 민간신용(추정치)는 지난 2분기 말 기준으로 4321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시내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 2021.9.24/뉴스1

KB국민은행이 전세자금대출 한도를 '전세보증금 증액 범위 이내'로 줄인 가운데 하나은행도 다음주부터 같은 방식으로 전세대출 한도 축소 방안을 도입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이르면 다음주부터 전세자금대출 한도를 임대차 계약 갱신 때 전셋값 증액 범위 이내로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경쟁 은행의 대출 제한에 따른 '풍선효과'로 전세대출을 포함한 가계대출 증가세가 더 가팔라지면서 금융당국의 '총량 관리' 목표 수준에 맞추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인다.

앞서 5대 시중은행 중 NH농협은행이 지난 달 말부터 신규 전세대출 취급을 중단한 데 이어 국민은행은 이날부터 전세대출 취급 한도를 대폭 축소한다. 전세 계약 갱신 때 임차보증금(전셋값)의 80%까지 가능했던 전세대출 한도를 증액 금액 범위로 줄이는 게 핵심이다. 다른 은행 전세대출을 받은 차주가 국민은행 대출로 갈아타는 대환대출도 중단한다.

예를 들어 전셋값이 4억원에서 6억원으로 2억원 올랐다면 지금은 전세보증금의 80%(서울보증보험 보증서 담보 기준)인 4억8000만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지만 이날부터는 증액분인 2억원까지만 빌릴 수 있다. 대출 한도가 절반 이하로 대폭 줄어드는 셈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한 은행이 특정 대출을 제한하면 '풍선효과'로 수요가 몰려들어 어쩔 수 없다"며 "한도가 부족한 은행들이 따라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은행업계에선 연쇄 풍선효과로 아직 전세대출 한도를 줄이지 않은 신한은행과 우리은행 역시 같은 방식의 가계대출 관리 방안을 시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관련기사]☞ '80억원대 피소' 타일러 권 "여자친구 제시카 명예만 다쳐, 억울"마마무 솔라, 볼륨 드러낸 밀착 룩+4000만원대 주얼리…어디 거?호랑이 가까이 보여주려다가…14개월 아들 손가락 잃어'스우파' 로잘린, 댄스 입시 레슨비 290만원 '먹튀' 폭로 나왔다배수진 "돌싱 예능 출연 후 쏟아진 악플 고충…아기 욕까지"
오상헌 기자 bborirang@mt.co.kr, 김상준 기자 awardkim@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