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규제 매수 신호 됐나? 기관, 지난주 가상화폐 1,100억원 매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정부가 강경한 규제를 도입한 뒤 가상화폐 가격이 하락하자 기관투자자들이 이를 대규모 매수 기회로 활용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8일(현지 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 등은 글로벌 디지털 자산 투자회사 코인셰어스가 지난 주 디지털 자산 상품의 투자 자금 유입액이 9,500만 달러(1,127억 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코인셰어스는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 대한 지속적인 자금 유입은 투자자들이 중국의 단속 방침 등을 매수 기회로 봤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4월 이후 가장 많은 투자
중국 투자자조차 장외거래소 통해 구매
중국 정부가 강경한 규제를 도입한 뒤 가상화폐 가격이 하락하자 기관투자자들이 이를 대규모 매수 기회로 활용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8일(현지 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 등은 글로벌 디지털 자산 투자회사 코인셰어스가 지난 주 디지털 자산 상품의 투자 자금 유입액이 9,500만 달러(1,127억 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지난 24일 중국 당국이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것만으로도 형사 처벌을 하는 강경한 규제책을 낸 이후 시장이 요동쳤다. 기관은 이때를 매수 타이밍으로 삼은 것으로 보여진다. 코인셰어스는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 대한 지속적인 자금 유입은 투자자들이 중국의 단속 방침 등을 매수 기회로 봤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말했다.
중국의 규제 강화로 비트코인은 한때 4만2,000달러(4,983만원) 아래로 떨어졌고 이더리움은 2,800달러(320만 원) 선으로 밀린 바 있다.
이 기간 비트코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 상품 투자액은 5,020만 달러(595억 원)로, 4월 19일 이후 가장 많았다. 이더리움 관련 투자 상품은 6월 7일 이후 최대 유입액인 2,890만 달러(343억 원)를 기록했다. 솔라나와 카르다노 투자 상품에도 각각 390만 달러(46억 원), 260만 달러(30억 원) 자금이 들어왔다.
이 같은 규제책은 중국 투자자에게도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상하이의 한 투자자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 정책은 우리에게 새로운 것이 아니고 오히려 그것을 매수 신호로 본다"며 “장외 거래소에서 2만 달러 가량의 비트코인을 구매했다”고 전했다.
정혜진 기자 madein@sedaily.comCopyright©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자본, 3년 반동안 국내 아파트 3조원 쓸어갔다
- 오뚜기 회장도 당할 뻔한 스미싱 문자…무슨 내용이길래?
- 두 아이 아빠 숨지고 30대 아들 뇌출혈…화이자 백신 부작용 청원 잇따라
- 수선 굴욕 끝…조세호가 뛰어든 '현실 핏' 남성복은?
- 김부선 '이재명 점 안 뺐다에 1조 걸어…미신 맹신해 절대 못 뺄 것'
- 10개월 아기 온몸에 은색 칠하고 구걸…인도네시아 ‘실버맨’ 골머리
- [영상]음주운전 사고 내더니…되레 낭심 걷어차고 행패
- '갯마을 차차차' 인기에 '신민아 가방' 3,000개 팔렸다
- '결제가 안 됐네' 카드 복제해 팔아넘긴 배달기사
- 양궁 안산 7점 쏘자…KBS 해설 '최악이다, 이게 뭐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