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비밀문서 속 인물들의 생생한 증언 담았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5년 7월 워싱턴 인근 미국국립문서보관소를 찾은 김택곤씨.
그는 80년대 중·후반 미국의 소리(VOA) 기자, 1996년 MBC 워싱턴특파원으로 활동하던 기간을 포함해 20여년을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에 수장돼 있는 비밀문서 채집에 매달려 4000건이 넘는 자료를 모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5년 7월 워싱턴 인근 미국국립문서보관소를 찾은 김택곤씨.
“기자는 사람과 사람을 만나고, 사람들의 삶을 어깨너머로 들여다보고 살펴보는 직업이죠. 언론인으로 한평생 살아왔는데, 회한이 남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기자 생활을 하며 모아놓은 파일을 정리해서 우리 사회에 도움이 되는 기록을 남기고 싶었어요.”
1977년 MBC에 입사해 보도국장과 광주MBC 사장, JTV전주방송 사장을 지낸 김택곤씨가 최근 책 <미국 비밀문서로 읽는 한국 현대사 1945-1950>를 펴냈다. 그는 지난 24일 전화 인터뷰에서 “해방과 미군정, 남북분단과 정부 수립, 한국전쟁으로 이어진 한국 현대사의 격동기에 숨어 있는 역사적 진실을 찾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 책의 줄기는 미국 정부의 해제된 비밀문서들이다. 그는 80년대 중·후반 미국의 소리(VOA) 기자, 1996년 MBC 워싱턴특파원으로 활동하던 기간을 포함해 20여년을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에 수장돼 있는 비밀문서 채집에 매달려 4000건이 넘는 자료를 모았다. 그 가운데 300여 건의 문서들 속에 숨겨진 한국 현대사의 파편들을 추려내 이 책에 담았다.
김씨가 주목한 건 “역사의 수레바퀴에 짓이겨져 죽거나 가까스로 살아남은 수많은 들꽃들이었다.” 그는 누렇게 빛바랜 비밀문서들에서 1945~1950년의 역사적 격동기에 비극적인 삶을 살아야 했던 이 땅의 젊은이들을 마주했다. 일본군 위안부로 버마에 끌려간 17세 소녀 김연자의 이야기로 시작한 이 책을 한국전쟁에 참전한 한국계 이민 2세 미군 병사 에녹 리 일병의 수난기로 끝맺은 이유다.
자료 정리에 2년, 집필까지 1년 4개월이 걸렸다. 그는 “문서를 들추며, 문서와 문서들 사이에 놓인 상관관계를 잇는 작업이 간단치 않았다”면서 “정치적 사건이나 정치 지도자들에 관한 문서보다 탈영병 수사기록, 의용병 일기장, 미군이 평양 주재 소련대사관에서 노획한 수백 통의 편지들에 더 눈길이 갔다”고 말했다.
그래서일까. 책 머리말에 이렇게 적었다. “역사의 파편들이 분진이 되어 흩어지기 전에 우리 기억에서 사라져 야사가 되고 다시 달빛에 묻혀 전설이 되기 전에, 미이라 같은 서류 속 인물들을 만나 생생한 증언을 듣고 싶었다.”
Copyright © 기자협회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간첩 99명 체포' 스카이데일리, 윤리위 제재 이행 거부 - 한국기자협회
- 조선일보 주필도 극찬한 KBS '추적60분', 왜 결방돼야 했나 - 한국기자협회
- [부음] 김성환 파이낸셜뉴스 정보미디어부장 부친상 - 한국기자협회
- 교도관이 제지한 찰나에 오간 '눈과 눈의 대화' - 한국기자협회
- 국제신문 기업회생 신청 3달… "조속 개시" 탄원 줄이어 - 한국기자협회
- TBC 임금협상 파국... "투자실패 손실, 직원에 떠넘겨" - 한국기자협회
- 뉴스타파, 천주교 '지학순정의평화상' 수상 - 한국기자협회
- 류희림 사퇴촉구·감사 요구안, 국회 본회의 통과 - 한국기자협회
- 이진숙이 강행한 방문진 이사 임명, 법원 집행정지 확정 - 한국기자협회
- "이진숙, 정치중립 의무 위반... 지금이라도 물러나라" - 한국기자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