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투, '젠투펀드' 투자자에 원금 40% 선지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한금융투자가 환매 중단된 '젠투(Gen2)펀드'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40%를 먼저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28일 신한금투는 이사회를 열어 젠투펀드 투자자들에게 투자금(4,200억 원)의 40%인 1,680억 원을 가지급하겠다는 안건을 상정해 의결했다.
홍콩 사모운용사 젠투파트너스가 운용한 파생결합증권(DLS) 젠투펀드는 국내에서 총 1조 125억 원어치 판매됐는데, 이 중 신한금투가 절반에 가까운 4,200억 원어치를 투자자들에게 판매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한금융투자가 환매 중단된 '젠투(Gen2)펀드' 투자자들에게 원금의 40%를 먼저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소송 장기화 가능성이 큰 만큼 투자자들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서다.
28일 신한금투는 이사회를 열어 젠투펀드 투자자들에게 투자금(4,200억 원)의 40%인 1,680억 원을 가지급하겠다는 안건을 상정해 의결했다. 아직 손실금액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해 자체 결정을 내린 셈이다.
홍콩 사모운용사 젠투파트너스가 운용한 파생결합증권(DLS) 젠투펀드는 국내에서 총 1조 125억 원어치 판매됐는데, 이 중 신한금투가 절반에 가까운 4,200억 원어치를 투자자들에게 판매했다. 그 뒤를 삼성증권(1,451억 원), 우리은행(347억 원), 하나은행(301억 원), 한국투자증권(179억 원)이 이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환매 중단을 선언한 젠투파트너스는 올해 7월이 되자 환매 중단 기간을 내년 7월까지로 1년 더 연장하겠다며 국내 판매사들에 일방적으로 통보했다. 이유는 펀드에 대한 대출 회수와 '펀드 마진콜' 때문이었다. 환매가 재개되면 펀드 자산이 줄줄이 청산되면서 투자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젠투펀드는 줄줄이 이어진 사모펀드 사태 중 라임펀드 다음으로 피해 규모가 크지만, 그 동안 다른 펀드 사태에 비해 관심에서 벗어나 있었다. 실제로 올해 6월 부실 사모펀드 전체에 대한 원금 100% 보상안을 발표한 한국투자증권 외에는 젠투펀드에 대한 선보상이 전무한 실정이었다. 신한금투의 결정은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신한금투 측은 "책임경영 실천과 고객 신뢰회복을 위해 가지급을 결정했다"며 "향후 젠투 신탁에 대한 고객 자산 회수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곽주현 기자 zooh@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초6 남학생이 담임 여교사에 성희롱 논란...교사들 "극한 직업" 한숨
- 할머니 뱃속 암덩어리, ‘세 아들 뭐했나’ 원망했지만…
- 제시카 패션 브랜드, 80억 채무 불이행 피소...타일러 권 "억울해"
- 퇴짜 맞았던 '오징어 게임' 13년 만의 대박… "BTS도 이런 기분이었을까요"
- 이재명의 정면돌파... 측근 연루설에 "같은 이씨라고 엮는 게 빠를 듯"
- [단독] 대장동 개발 주주협약서, 성남도공 몫 '1822억 상한' 못박았다
- '무면허 운전·경찰폭행' 장제원 아들 노엘, 소속사와 계약 해지
- '와카남' 홍준표, 눈썹 탈모 고백 "스트레스 커"
- 안산이 7점 쏘자 "이게 뭐냐" "최악이다"… KBS 중계 논란
- 중고 김치냉장고 밑바닥 현금 1억여원 주인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