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사망자 첫 30만.. 고령화 더 빨라졌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총 사망자가 30만4948명으로 전년 대비 9838명 증가했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사망자 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은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사망자 수가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지난해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3.3% 증가했는데, 2010년 이후로 보면 (전년 대비) 사망자 수가 3% 이상 증가한 연도가 4개 더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총 사망자가 30만4948명으로 전년 대비 9838명 증가했다. 지난해 사망자 수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3년 이래 최대 규모다.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전체 사망자 수의 0.3%를 차지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0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총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0세 이상의 사망자가 전체 사망 중 48.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80세 이상 사망자 비중은 10년 전보다 15.2%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빨라진 고령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성별로 보면 남자 사망자 수는 16만5163명으로 전년 대비 4841명(3.0%) 증가했다. 여자 사망자 수는 13만9785명으로 전년 대비 4997명(3.7%) 증가했다. 하루 평균 사망자 수는 833명으로 전년보다 24명 증가했다.
전체 사망 원인의 44.9%를 차지하는 3대 사인은 암, 심장질환, 폐렴 순이었다. 암 중에서는 폐암, 간암, 대장암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다.
이어 뇌혈관 질환, 고의적 자해,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간 질환, 고혈압성 질환, 패혈증이 순서대로 10대 사망원인에 포함됐다. 패혈증이 10대 사망원인으로 포함된 것은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10대 사망원인으로 인한 사망은 67.9%다.
사망자 수가 사상 최대로 증가한 것은 코로나19 영향이 아니라는 게 정부 당국의 분석이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사망자 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은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사망자 수가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지난해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3.3% 증가했는데, 2010년 이후로 보면 (전년 대비) 사망자 수가 3% 이상 증가한 연도가 4개 더 있다"고 설명했다. 사망자 수 증가는 고령화에 따른 자연적인 현상으로, 코로나19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은진기자 jineun@dt.co.kr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분만에 콜라 1.5ℓ 마시고 사망"…터질듯한 장기, 의사도 깜짝 놀랐다
- 흉기피습 인적 끊긴 속초 영랑호…봉변 당한 피해자 "힘줄·신경 다 잘렸다"
- "XX 넣어도 돼요?"…선생님에 성희롱 메시지 보낸 초등 6학년
- 배달 오토바이 비극…전방주시 않던 승용차 들이받아 다리 절단된 30대 라이더
- 햄버거서 나온 5cm 빨간 벌레…이미 2마리 먹은 30대 여성
- 속초서 양수 터진 임산부, 분만실 없어 헬기타고 서울와서 출산
- `가짜 술` 먹고 31명 사망, 러시아 발칵…알고보니 불법제조된 `메탄올`
- "왜 웃어?"며 초등생 2명 때리고 넘어뜨린 여교사…학교 "담임 교체"
- "이 영상이 인생 망쳤네"…미모 여성과 활보하다 짤린 中유명기업 사장
- 신호위반 승용차, 1t 트럭과 충돌…70대 여성 2명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