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OTT 앱은 '넷플릭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6~7월 국내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로 넷플릭스와 왓챠가 꼽혔다.
28일 모바일 앱 분석 업체 앱애니에 따르면 국내 주요 OTT 서비스 중 앱 재방문율(리텐션)이 가장 높은 앱은 넷플릭스였다.
왓챠는 지난 2011년 영화 평가 및 추천 서비스에서 시작해 2016년 스트리밍 서비스로 확장한 국내 OTT 서비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윤선훈 기자] 지난 6~7월 국내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로 넷플릭스와 왓챠가 꼽혔다.
28일 모바일 앱 분석 업체 앱애니에 따르면 국내 주요 OTT 서비스 중 앱 재방문율(리텐션)이 가장 높은 앱은 넷플릭스였다. 그 뒤를 왓챠, 웨이브, 티빙 등이 이었다. 이는 리텐션 30일 지수(30일 이후 재방문율)를 기준으로 한 순위다.
리텐션 7일 지수 역시 넷플릭스와 왓챠가 나란히 1, 2위를 차지했다. 반면 리텐션 1일 지수에서는 왓챠가 넷플릭스를 누르고 1위를 가져갔다. 리텐션 지수란 최초 앱 사용일로부터 사용을 유지하는 이용자의 비율을 측정한 값을 말한다.
앱애니 관계자는 "리텐션 지수는 사용자들의 경험성을 살펴보는 바로미터와 같은 데이터"라며 "이번 리텐션 지수 순위에서 국내 서비스도 이용자 경험 측면에서 해외 서비스 못지 않은 경쟁력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6년 한국에 진출한 넷플릭스는 올해 들어 본격적으로 한국 콘텐츠 투자를 늘리고 있다. 올해 '킹덤', '승리호'에 이어 최근 '오징어 게임'이 국내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를 토대로 재방문율 1위를 차지했다.
왓챠는 지난 2011년 영화 평가 및 추천 서비스에서 시작해 2016년 스트리밍 서비스로 확장한 국내 OTT 서비스다. 6억2천만개 이상의 이용자 콘텐츠 평점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화 콘텐츠 추천 기능이 특징이다. 올해 이용자들이 함께 콘텐츠를 감상하며 소감을 나누는 '왓챠파티' 기능을 선보였고, 지난해에는 일본에 진출하며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사상 최초로 해외 시장에 발을 들였다.
/윤선훈 기자(krel@inews24.com)▶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재밌는 아이뉴스TV 영상보기▶아이뉴스24 바로가기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키이스트, IP·OTT로 성장 가속화-하이투자증권
- [OTT온에어] '디즈니+ 온다' 넷플릭스 굳히기…오리지널 '봇물'
- "MTS도 맞춤형"…증권사, 차별화 콘텐츠로 MZ '취향저격'
- [클라우드+] AWS "SaaS 韓 스타트업 글로벌 스타로 키울 것"
- [기자수첩] 한국식 '마크롱 개혁' 이룰 자 누구인가
- 반도체 회복 기대감에 '기업 체감경기' 7개월 만에 개선
- 보증금 반환 '쩔쩔'…집주인, '사업자 대출'까지 손댄다[현장]
- [결혼과 이혼] '성매매·소개팅' 중독 남편, 아내 유산에도 "위자료 못 줘"
- [오늘의 운세] 2023년 3월30일 띠별‧별자리
- 기선제압 아본단자 흥국생명 감독 "2차전 더 많은 관중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