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그룹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 개최..글로벌 위기 속 대안 제시

박준 2021. 9. 28. 14: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성그룹은 28일 조선호텔에서 코로나19와 대규모 자연재해를 초래하는 기후변화 등 글로벌 위기 극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바이오 분야의 현재와 미래 가능성을 조망해 보는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을 개최했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미생물 기술(부제: 탄소중립과 글로벌 팬더믹 위기 대응 Microbial Efficiency for Sustainability: Carbon Neutrality and Global Pandemic-Addressing Fundamental Challenges)'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는 미생물분야 최고의 석학들이 인류를 위협하는 또 다른 감염병과 이미 발등에 불이 떨어진 시급한 문제인 기후변화 해결을 위한 새로운 미생물 기술들을 소개하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성그룹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 개최 *재판매 및 DB 금지

[대구=뉴시스] 박준 기자 = 대성그룹은 28일 조선호텔에서 코로나19와 대규모 자연재해를 초래하는 기후변화 등 글로벌 위기 극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바이오 분야의 현재와 미래 가능성을 조망해 보는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을 개최했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미생물 기술(부제: 탄소중립과 글로벌 팬더믹 위기 대응 Microbial Efficiency for Sustainability: Carbon Neutrality and Global Pandemic-Addressing Fundamental Challenges)'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는 미생물분야 최고의 석학들이 인류를 위협하는 또 다른 감염병과 이미 발등에 불이 떨어진 시급한 문제인 기후변화 해결을 위한 새로운 미생물 기술들을 소개하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올해로 4회째를 맞는 대성해강미생물포럼은 강연과 토론 등 세미나를 현장행사와 동시에 온라인으로도 생중계하는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진행됐다.

주요 연사로는 ▲바이오소재 및 단백질 생산을 위한 가스발효기술의 대표 과학자인 독일 튀빙겐 대학의 라스 앤게넌트(Lars Angenent)교수 ▲마이크로바이옴 재설계 기반 혁신 의약 기술에 기여하고 있는 싱가포르국립대학의 매튜 욱 장(Matthew Wook Chang) 교수 ▲온실가스를 활용한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연구 개발로 특허를 출원한 경희대 화공생명공학과 이은열 교수 ▲미생물 유전체 및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연구 분야의 선도 과학자로 농식품부 미생물유전체 전략연구사업단을 이끌고 있는 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김지현 교수 등이 참여했다.

시스템 및 합성 생명공학 분야 권위자인 KAIST 조병관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특히 포럼에서는 바이오 분야의 혁신 스타트업인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연구개발 기업 ㈜에이투젠의 강지희 대표와 신경회로 기반 뇌질환 신약개발 회사인 뉴로토브의 김대수 대표가 각각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발굴 플랫폼 & 프로세스와 파킨슨 병 및 전증을 위한 차세대 뇌 치료제 등을 공개했다.

화이트바이오 관련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신진 과학자들을 위한 별도의 세션도 마련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인 이대희 교수는 미생물 대사공학을 위한 합성생물학을 ▲전남대 생명기술학부 염수진 교수는 생명체 플라스틱 생분해를 위한 신규 생촉매 발굴 및 개발 등의 연구 실적 등을 발표했다.

대성그룹 김영훈 회장은 "다양한 학문과 융합된 미생물 공학은 기후변화와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고령화 사회의 건강문제는 물론, 인류의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며 "바이오경제(Bioeconomy) 시대에 주도권을 잡고 국가 산업경제의 지속가능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정부의 전폭적 지원과 함께 민·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기술에 대한 권리가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대비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ne@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