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노사관계 물어보면..'파업, 투쟁' 떠올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MZ세대(1980년대초~2000년대초 출생)를 대상으로 노사관계 인식을 조사한 결과 MZ세대 상당수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로 '파업'과 '투쟁'을 꼽았다.
28일 경총이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MZ세대 400명(응답자 기준)을 대상으로 노사관계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43.6%가 우리나라 노사관계를 대립적이라고 평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MZ세대(1980년대초~2000년대초 출생)를 대상으로 노사관계 인식을 조사한 결과 MZ세대 상당수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로 '파업'과 '투쟁'을 꼽았다.
28일 경총이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MZ세대 400명(응답자 기준)을 대상으로 노사관계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43.6%가 우리나라 노사관계를 대립적이라고 평가했다.
우리나라 노사관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0.2%가 파업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는 투쟁(17.3%)이 그 뒤를 이었다.
기업·노조·정부 등 각 주체가 어떻게 노사관계를 대립적으로 만드는지에 대해 물은 결과, 응답자들은 기업의 열악한 근무환경(41.7%), 노조의 대화와 타협 거부(34.3%), 정부의 탁상행정(22.0%) 때문에 노사관계가 대립적으로 됐다고 평가했다.
기업 때문에 노사관계가 대립적으로 됐다면 그 요인으로 '열악한 근무환경'(41.7%)이 가장 많이 선택됐다. 이외에도 불공정한 임금체계(19.0%), 낮은 임금 수준(14.7%), 고용불안(10.0%), 딱딱한 조직문화(7.8%), 장시간 근로(5.3%) 등 순으로 나타났다.
노조 때문에 노사관계가 대립적으로 됐다면 응답자들은 그 원인으로 대화와 타협 거부(34.3%), 과도한 임금인상 요구(28.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그 밖에 노조간 세력 경쟁(11.3%), 근로시간면제자(10.0%), 성과주의 임금체계 거부(8.3%), 불법행위(8.0%)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 때문에 노사관계가 대립적으로 됐다면 그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탁상행정(22.0%), 노동정책 일관성 부족(20.0%), 노조의 불법행위 방치(16.5%)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외에도 사회적 대화 조율능력 부족(14.8%), 사용자의 법위반 방치(13.5%) 순으로 나타났다.
노사협력이 국가경쟁력 강화에 필수적 요소인가라는 설문에 응답자의 68.4%가 필수적이라고 응답했다. 필수적이지 않다는 응답은 4.9%에 그쳤다.
황용연 경총 노사협력본부장은 "협력적 노사관계를 만들기 위해서 기업은 근무환경개선과 공정한 임금체계 구축에 더욱 노력하고, 노동계는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과 함께 과도한 임금인상 요구를 자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모더나 백신 맞고 열흘 뒤…모친산소 벌초하던 20대 숨져 - 머니투데이
- '150억 공방' 영탁, 예천양조 겨냥 글 돌연 삭제…무슨 일? - 머니투데이
- 3일 일하면 500만원…'오징어게임' 외국인 배우가 거절했던 이유 - 머니투데이
- 클럽 죽순이 2명, 부잣집 형제와 나란히 결혼…빌딩 꿰찬 사연 - 머니투데이
- 서예지 하차한 '아일랜드', 이다희·김남길·차은우 출연 확정 - 머니투데이
- 가수 비, '85억' 부동산 사기혐의로 피소…고소인 "허위매물 팔았다" - 머니투데이
- "직업은 피아노강사"…'대전 교사' 가해 학부모 세번째 신상 폭로 - 머니투데이
- 치과의사 이수진 "맨날 억대 벌었는데…中 환자 줄어 힘들어" - 머니투데이
- '애로부부' 출연 개그맨 전처 "폭력 속에 살아…이혼 전 바람까지" - 머니투데이
- 선우은숙, 재혼 1년만 주말 부부됐다…"남과 사는 것 쉽지 않아"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