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보도)「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안 국무회의 의결

2021. 9. 28. 11: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서 위임한 △직업성 질병자의 범위 △공중이용시설의 범위 △안전·보건확보 의무의 구체적 내용 등 규정

▷ 중대재해처벌법은 처벌이 아니라 중대재해를 예방하고자 하는 최소한의 안전틀 → 정부는 법 시행('22.1.27)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할 것


□ 정부는 9월 28일(화) 제42회 국무회의에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안을 심의·의결하였습니다.


ㅇ 오늘 의결된 제정안은 직업성 질병자 범위, 공중이용시설 범위,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에 관한 조치 등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2021.1.26. 공포, 2022.1.27. 시행)에서 위임된 내용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ㅇ 중대재해처벌법은 처벌이 아니라 중대재해를 예방하고자 하는 최소한의 안전 틀입니다.


□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직업성 질병자의 범위(안 제2조, 고용부)


ㅇ 중대산업재해 판단기준인 직업성 질병자의 범위는 법률에서 위임한 바에 따라 각종 화학적 인자*에 의한 급성중독과 급성중독에 준하는 질병으로 정함

* 화학적 인자는 유기화합물, 금속류, 산 및 알카리류, 가스 상태 물질류, 허가 대상 유해물질, 금속가공유 등 총 199종의 유해인자와 인 등 금지물질을 의미 


- 급성중독에 준하는 질병은 인과관계의 명확성(급성), 사업주의 예방가능성, 피해의 심각성을 기준으로 선정

※ 직업성 질병의 구체적 내용은 첨부한 시행령의 '별표1'을 참고


② 중대시민재해의 공중이용시설의 범위(안 제3조, 국토부)


ㅇ 중대시민재해 적용대상이 되는 공중이용시설은 △대상의 명확성 △공중 이용성 및 △재해발생시 피해규모 등을 고려하여 대상 범위 규정


- ①연면적 2천m2 이상 지하도상가, ②연장 5백m 이상 방파제, ③바닥면적 1천m2 이상 영업장, ④바닥면적 2천m2 이상 주유소·충전소 등


* ①실내공기질법上 시설, ②시설물안전법上 시설, ③다중이용업소법上 영업장 ④그 밖의 시설


③ 안전·보건 확보의무의 구체적 내용(고용·환경·국토부 등)


중대산업재해 관련(안 제4~5조, 고용부)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



 

안전·보건 관계 법령에 따른 의무이행에 필요한 관리상 조치


- △의무이행 여부 △교육실시 여부를 점검(반기 1회 이상)하고,미이행시 필요한 조치(인력배치, 예산 추가편성 등)


※ 이하 '②원료·제조물', '③공중이용시설·공중교통수단' 관련 내용도 유사하게 규정


원료·제조물 관련(안 제8~9조, 환경부)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


- △인력 배치·업무부여 △예산편성·집행 △조치여부 점검(반기 1회 이상)


- 인체 유해성이 강하여 중대시민재해 우려가 높은 원료·제조물(영 별표5)에 대해서는 △유해·위험요인 주기적 점검 및 위험징후 대응조치 △보고·신고절차 등을 포함한 업무처리절차 마련

* 독성가스·농약·마약류·방사성물질·의료기기·화약류·유해화학물질(제1~11호) 및 "그 밖에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고시하는 해로운 원료·제조물(제12호)"로 규정


공중이용시설·공중교통수단 관련(안 제10~11조, 국토부)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


- △공중이용시설 등에 대한 안전계획* 수립·이행 △제3자 도급·용역시 안전·보건 확보 위한 기준·절차 마련 및 조치여부 점검(연 1회 이상)

* 안전·유지관리 위한 인력 확보, 안전점검·정밀안전진단 수행 관련 포함


④ 안전보건교육 수강 및 과태료 부과(안 제6~7조, 고용부)


ㅇ (교육내용)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등 안전·보건에 관한 경영방안 △중대산업재해 원인분석과 재발방지 방안 등으로 구성


ㅇ (교육방법) △20시간 범위內 운영 △비용은 참여자 부담 △분기별 중대산업재해 발생 법인·기관 대상 교육대상자 확정 등


ㅇ (과태료) 1차(1천만원), 2차(3천만원), 3차(5천만원)


⑤ 중대산업재해 발생사실의 공표(안 제12조, 고용부)


ㅇ (공표 대상) 중대산업재해로 범죄의 형이 확정되어 통보된 사업장


ㅇ (공표 내용) △사업장 명칭 △재해발생 일시·장소 △피해자 수 △재해 내용·원인 △해당 사업장 최근 5년 내 재해발생 여부


ㅇ (공표 방법) 관보, 고용부 또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에 1년 게시


□ 정부는 기업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등 법 시행('22.1.27)에 필요한 충분한 준비기간 부여를 위해 시행령을 최대한 신속히 확정하였습니다.


ㅇ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기업 등 우리 사회가 해야 할 일을 정부가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습니다.


ㅇ 법 시행 전까지 남은 기간 동안 △분야별 고시 제정 및 가이드라인 마련 △권역별 교육 △현장지원단 구성·운영을 통한 컨설팅 지원 등을 통해 법 시행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할 계획입니다.



※ (붙임)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