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헝다그룹 위기에 인도 증시 '반사이익'..연초 대비 22%↑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도 증시가 사흘째 상승세로 장을 마치면서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27일(현지 시각) 인도 센섹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9.41포인트(0.05%) 오른 6만77.88로 장을 마쳤다.
여기에 중국 규제 리스크와 헝다그룹 디폴트 우려가 커지면서 중국에 못지 않은 거대시장인 인도가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한편 골드만삭스는 지난 20일 인도가 영국을 밀어내고 세계 5위권 규모의 주식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도 증시가 사흘째 상승세로 장을 마치면서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27일(현지 시각) 인도 센섹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9.41포인트(0.05%) 오른 6만77.88로 장을 마쳤다. 장중 한 때 6만412.32를 찍기도 했다.
경제가 고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규제 리스크로 반사 이익에 대한 기대감이 호재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센섹스(SENSEX)지수는 연초부터 지난 9월 22일까지 약 22% 올랐다. 이 기간 한국의 코스피를 비롯해 중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증시는 대부분 박스권 흐름을 보였다.
인도의 지난 2분기 GDP는 1년 전보다 20% 늘었다. 제조업 PMI 지수가 지속적으로 확장 국면을 보이고 있는 데다 수출 증가율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 지난 7월 인도의 수출 증가율은 전년 대비 55%를 기록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투자 환경 역시 투자자들을 끌어 모으고 있다. 역대 최저 금리인 4%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인도 중앙은행 총재는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까지 내비쳤다.
여기에 중국 규제 리스크와 헝다그룹 디폴트 우려가 커지면서 중국에 못지 않은 거대시장인 인도가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중국 정부의 IT 플랫폼 기업 규제 강화와 최근 헝다그룹 디폴트 우려에 실망과 두려움을 느낀 외국인 투자자들이 인도 증시로 발길을 돌렸다는 것. 이와 관련해 금융투자업계는 올들어 인도 증시에 유입된 글로벌 자금이 72억 달러(약 8조5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골드만삭스는 지난 20일 인도가 영국을 밀어내고 세계 5위권 규모의 주식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골드만삭스는 “투자자들이 인도주식시장에 돈을 쏟아붓고 있다”면서 “인도 주식시장은 3년 안에 5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현대로템, 글로벌 방산 펀드 투자 대상에 첫 포함
- [당신의생각은] 안경사協 항의에… 4만원대 ‘누진 다초점 렌즈’ 홈쇼핑 판매 중단
- [단독] GTX-B 예산도 41% ‘싹둑’… 정부, SOC 사업 감액 ‘속도 조절’
- 퇴사 유도?…아마존, 직원들에 “주요 거점 사무실 복귀” 명령
- [Why] ‘테킬라 100% 아가베’는 거짓?… 디아지오, 美서 집단소송 휘말린 이유는
- ‘빚투’ 19조 넘었는데 증시 과열 아니라는 이유… 예탁금은 3년 만에 최고치
- SKT, 유심 교체 절차 사실상 마무리… 영업 재개는 ‘아직’
- 김민석 인사청문특위, 전처 JDC 임명·장남 청심고 진학 ‘특혜 의혹’ 추가 제기
- 아이패드 OLED 칩 두고 다윗과 골리앗 싸움… LX세미콘, 삼성전자와 경쟁 본격화
- 태국인 여성, 한국 택시 탔다가 ‘충격’… 도 넘은 말에 분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