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모은 헌혈증 119장, 백혈병어린이재단에
[경향신문]
소방청은 지난 17일 부산 중부소방서 이성훈 소방교(36·사진 오른쪽)가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 부산나음소아암센터’를 방문해 헌혈증 119장과 함께 자신이 소속된 창선119안전센터 직원들이 함께 마련한 소아용 마스크 1000장을 전달하였다고 27일 밝혔다.
이 소방교가 기증한 헌혈증은 2001년 고등학교 재학 시절 백혈병을 앓고 있던 친구 동생에게 도움을 주고자 처음 헌혈을 시작한 때부터 모은 것이다. 그는 군인으로 복무할 때도 헌혈을 거르지 않았고, 2015년 소방관이 된 이후로도 꾸준히 헌혈을 계속해 왔다.
이 소방교는 백혈병 환자들을 위해 조혈모세포도 기증한 바 있다. 그는 2007년 한국조혈모세포은행협회에 조혈모세포 기증 희망자 등록을 했고, 2017년 1월 한국조혈모세포은행협회로부터 유전인자가 일치하는 백혈병 환자가 있다는 연락이 오자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기증했다.
조혈모세포는 일반 성인의 골수에 1% 정도의 적은 수로 존재하며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혈액세포를 만들어내는 모(母)세포다.
조혈모세포는 자가복제능력이 있어 기증해도 일정숫자가 유지된다. 백혈병 등 혈액암 환자들은 조혈모세포가 제기능을 하지 못해 건강한 사람의 조혈모세포를 기증받아 이식해야 하지만 혈연이 아닌 경우 조혈모세포 유전인자가 일치할 확률은 수만분의 1로 매우 희박하다.
이 소방교는 “헌혈은 건강해야만 누릴 수 있는 특권이고 작은 실천으로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일”이라며 “앞으로도 200회, 300회 계속 헌혈을 실천하고 싶다”고 말했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동훈 처조카 논문에 연세대 외숙모 의대 교수 이름
- 두발 단속·일제 소지품 검사 부활하나···서울 학생인권조례 폐지 위기
- 현아·던 ‘럽스타그램’은 계속…재결합설 뒷받침
- ‘신해철 사망사고’ 의사, 또 의료사고로 환자 숨져 실형
- 이런 실수…‘고향사랑기부금’ 낸 손흥민, 세액공제 못 받나
- [단독] 김부겸 “한국사회 지금 정서적 내전 상태, 한 발 더 나가면 나치즘”
- 집값 폭등에 떠밀렸나…경기도 작년 인구 1400만명 육박
- 커터칼로 택시 44대 뒷좌석 ‘쓱’···왜 그랬나 물으니
- 안철수 손 맞잡은 이준석 “정당의 민주적 운영” 강조
- 새마을금고를 보면 보인다, 한국이 왜 ‘갑질 지옥도’ 되는지[새마을 갑질: 거울 또는 렌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