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구제급여 대상자 138명 추가..총 4258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환경부는 27일 '제26차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위원회'를 열고 138명에 대한 구제급여 지급 및 32명의 피해등급 결정, 긴급의료지원 대상자 결정 등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이날 지난해 9월 법 개정 이전 피해를 인정받지 못했던 피해자를 포함한 138명의 구제급여 지급 결정과 법 개정 이전 피해를 인정받았던 32명에 대한 피해등급을 의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환경부는 27일 '제26차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위원회'를 열고 138명에 대한 구제급여 지급 및 32명의 피해등급 결정, 긴급의료지원 대상자 결정 등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이날 지난해 9월 법 개정 이전 피해를 인정받지 못했던 피해자를 포함한 138명의 구제급여 지급 결정과 법 개정 이전 피해를 인정받았던 32명에 대한 피해등급을 의결했다. 이들에 대한 구제급여 지급 지원항목은 요양급여·요양생활수당·간병비‧장해급여‧장의비‧특별유족조위금‧특별장의비‧구제급여조정금 등 총 8가지다.
기존 호흡기계 질환만 대상으로 하던 것과 달리 가습기살균제 노출 후 전체 건강상태의 악화 여부를 종합적으로 확인·검토해 호흡기계 질환과 동반되는 피부질환, 우울증 등의 기타 질환도 피해구제를 인정했다.
또 위원회는 의료적·재정적 지원이 시급한 대상자 6명에 대한 긴급의료지원도 의결했다. 긴급의료지원은 환경노출 결과 가습기살균제와 건강피해와의 관련성, 의료적 긴급성 및 소득수준 등을 고려했으며 본인이 부담한 의료비에 해당하는 요양급여를 지원받게 된다.
박용규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은 "구제급여 지급 등 피해자 구제를 차질 없이 진행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제2기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위원회 위원의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호흡기내과, 직업환경의학과, 환경보건, 독성학, 법학 등 전문가 11명과 관계기관 공무원 및 임직원 등 4명을 제3기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위원으로 위촉했다.
제3기 위원회의 임기는 2023년 8월8일까지로 구제급여 지급 여부 및 피해등급 등의 결정, 구제급여 지급결정 기준 및 피해등급 마련 등을 심의·의결하게 된다.
freshness410@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 "이러니 송중기 반했지"…케이티, 조지 클루니와 CF '눈길'
- 부승찬 "육참총장이 천공"…하태경 "경호처장 '폰 까자' 격앙"
- "자산 25억, 결혼 성사땐 1억 수고비" 45세男 화끈한 중매 전단
- 남보라 "남동생 경계성 발달장애…최근에야 장애 등급 받아"
- 간장통·물컵 핥고 스시 침 바르고…회전초밥 체인 영상 충격
- 아옳이, 옆머리 삭발+퉁퉁 부은 얼굴…무슨일
- 함소원, 베트남 호찌민 이사…"새로운 시작"
- 47세 김희선, 나이 안 믿기네…여신 아우라
- 불륜 꼬리표 뗀 황보미, P사 억대 슈퍼카 인증
- 핑크색 비둘기?…뉴욕서 발견된 희귀종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