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재 키우려면 수도권大 정원부터 늘려야"
(1) 인재확보 전략 다시 짜라
AI미래포럼 웨비나서
인재정책 부실 '쓴소리' 쏟아져
백은옥 한양대 교수 기조연설
"부처별로 정책 중복돼 비효율적
반도체보다 중요하게 다뤄야"
“우리나라 공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 교육은 미미한 수준이고, AI 실무 인재 양성을 위한 예산 투자도 매우 부족합니다.”(백은옥 한양대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교수)
“대학에서 배출되는 학생을 다 수용하더라도 기업의 AI 인재는 부족한 상황입니다.”(배경훈 LG전자 AI연구원장)
국내 AI 전문가들이 27일 열린 ‘AI미래포럼(AIFF) 웨비나’에서 한국의 AI 인재 양성 체계와 현황에 대해 일제히 ‘쓴소리’를 냈다. AI 기술은 모든 산업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기술 발전 속도도 매우 빠른데, AI 인재 정책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개별 부처 단위를 뛰어넘어 범정부적인 AI 정책 추진 체계부터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도권 대학 정원 규제 재검토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수도권 대학 정원 규제 재검토 필요”
AI미래포럼은 산업계, 학계 등 전문가 300여 명이 국내 AI 발전을 위해 뭉친 국내 최대 AI 연구 네트워크다. 올 3월 출범 이후 정기적으로 AI 발전 방향에 대한 세미나를 열고 있다. 이날은 ‘AI 인재양성 국가 포트폴리오 전략을 수립하자’를 주제로 논의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백은옥 교수는 “AI 인재 양성이 매우 시급하다”는 말부터 시작했다. 그는 “AI는 다른 기술에 비해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관련돼 있고 기술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다”며 “인재 양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AI 시대에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 정책의 투자 규모, 추진 체계 등은 ‘시급성’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게 백 교수의 지적이다. 올 4월 정부가 발표한 ‘빅3+인공지능 인재양성 방안’을 그 사례로 들었다. 빅3는 시스템반도체, 바이오, 미래차 등 신산업을 말한다. 백 교수는 “AI는 모든 산업 분야의 기반 기술인데 세 가지 기술 분야와 동등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부터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어 “투자 예산 규모도 매우 부족하다”고 했다. 빅3+인공지능 인재양성 방안에 따르면 올해 AI 분야 투입 예산은 528억원으로 4대 분야 중 가장 적었다.
백 교수는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부처가 각각 AI 인재 양성 사업을 벌여 정책 중복 및 사각지대 문제도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AI의 도래를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부르는데, 혁명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미국, 독일 등처럼 범정부적인 AI 국가 전략 추진 체계를 세우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수도권 대학 정원 규제 재검토나 AI 분야 전문 연구요원 병역특례 확대 등 대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 인력의 AI 재교육도 시급”
대학 등 교육 기관의 인재 양성만큼 기존 산업 인력의 AI 재교육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배경훈 원장은 “예를 들어 화학 물질의 구조 분석이라든지 개인 맞춤형 항암 백신 개발 등을 할 때 일반적인 AI 과학자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했다. 각 산업의 전문성을 가진 인력들이 저마다 AI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얘기다. LG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룹 내 AI대학원을 설립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회사 직원들에게 체계적인 AI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이를 수료하면 일반 대학 석사를 마친 것으로 인정해주는 방안이다.
배 원장은 “산업계 전반으로는 대학의 기업 직원 대상 AI 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이때 초급 중급 고급 등 수준별로 교육 과정을 표준화해 효율적인 교육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을 위한 맞춤형 AI 전환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안성훈 서울대 기계공학부장은 “중소기업에 매우 큰 규모의 빅데이터, AI 고급 기술을 요구하면 현실에 적용하기 어렵다”며 “중소기업에 맞는 적정한 수준의 스마트 기술을 보급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전국 10개 대학에 설치된 AI대학원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송 KAIST AI대학원장은 “AI의 기초인 기계학습 등 분야 기술력을 높이려면 AI대학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AI 분석, 개발 때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되는 컴퓨팅 인프라가 애로 사항인 만큼 이 부분의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민준/배성수 기자 morandol@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네이버 "나 떨고 있니"…세계 1위 '리셀 플랫폼' 한국 상륙
- "헝다보다 큰 충격 올 것"…中, 호주 때리더니 결국 '부메랑'
- 고교 내내 리니지만 하던 '겜돌이', 연 매출 800억 기업 일궜다
- 여행 재개땐 가방부터 바꾼다…쌤소나이트 주식 사볼까
- 효과 좋다던 다이어트약, 청소년들도 먹었는데…"환각 부작용"
- 선수야 모델이야?…필드 밝히는 '골프여신'의 건강미
- 송종국, 7년째 약초 캐며 산속 은둔 생활 "사람 만나기 싫어"
- '100억대' 안테나 신사옥 어떨까…유희열 "14년 만에" 감격
- [우빈의 조짐] '기안84' 어그로에 중독된 '나 혼자 산다'
- "인생 끝났다" 오열하던 리지, 음주운전 혐의 오늘 첫 재판